2023. 2. 3. 14:56ㆍ아시아 소식/버마소식
미얀마 군부 비상사태 연장, 계속되는 투쟁 (KBS_295회)
2023.02.04.방송
▶ 0:00 Title
▶ 0:24 쿠데타 2년, 멀어지는 미얀마 민주화
▶ 12:11 충돌격화, 이-팔 분쟁 극한으로 치닫나!
▶ 18:19 확산되는 퇴비장, 친환경인가? 존엄성 훼손인가?
▶ 28:25 반정부 시위 격화, 출구가 보이지 않는 페루정국
▶ 34:14 [위클리 Pick] 좀비 군단 / 달걀 대란
특파원 보고 세계는 지금 (매주 토요일 밤 09:40 KBS 1TV 방송)
쿠데타 2년, 멀어지는 미얀마 민주화 (KBS_295회)
2023.02.04.방송
♦︎ 미얀마 군부 쿠데타 2년째, 양곤 등 대도시는 어느 정도 평온을 되찾고, 접경지역 세관도 다시 문을 열었습니다.
하지만 군부의 공포정치는 계속되고 대학생들의 ‘게릴라 시위’와 무장한 시민방위대의 투쟁은 멈출 줄을 모릅니다.
90여만 명의 난민들이 목숨을 걸고 ‘보트 피플’이 되어 탈출행렬에 합류하는 사이 군부는 아웅산 수 치 여사에게 징역 33년을 선고하고, 구 여권인사들의 출마를 막은 상태에서 총선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쿠데타 2년을 맞아 미얀마-태국 국경지대를 현지 취재하고, 쿠데타가 미얀마 사회에 남긴 그늘을 살펴봅니다.
미얀마 쿠데타 2년, 무너진 민생…군부는 총선 준비 [9시 뉴스] / KBS 2023.02.01.
2년 전 오늘 미얀마에서는 군부가 총선 결과를 인정하지 못하겠다며 쿠데타를 일으켰죠.
미얀마 국민들은 거세게 저항하고 있지만, 군부는 아랑곳하지 않고 장기집권 기반을 다지고 있습니다. 태국과 미얀마 국경 검문소에 김원장 특파원 나가 있습니다. 김 특파원이 있는 검문소를 지나면 바로 미얀마 땅인거죠?
[기자] 그렇습니다. 3년 가까이 닫혀 있었는데 최근에 다시 열렸습니다. 미얀마의 도시들은 겉으로 보기엔 일상을 되찾고 있습니다. 강력한 처벌이 이어지면서 시위는 잦아들었습니다. 이미 사형을 선고받은 정치인과 시민이 100명을 넘고, 실제 사형이 집행되고도 있습니다. 지난 2년간 군·경의 폭력으로 3천 명 가까이 숨졌고, 지금도 1만 3천 여 명이 갇혀 있습니다.
[제레미 로렌스/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 대변인 :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 따르면 최소 2,890명이 군과 그에 협력하는 사람들에 의해서 사망했으며, 그 중 최소 767명이 구금 중에 숨졌습니다."] [앵커] 미얀마는 10여 년 전에 '아웅 산 수 치' 고문이 풀려나면서 해외투자가 봇물 터지듯 이어졌는데 지금은 다시 어려워지고 있다고요?
[기자] 네, 개방 이후 해마다 6% 정도 빠르게 성장했는데, 쿠데타가 일어난 2년 전에는 성장률이 무려 18%나 뒷걸음질 쳤습니다.
[아웅 툰 마웨 : "쌀 1kg에 5천 짯(3천원)까지 올랐어요. 아이들 급식비도 하루 1천 짯(6백 원)씩 줘야 하고, 어떻게 살아요."] 쿠데타 이후 미얀마의 빈곤층이 전체 인구의 40%인 2천만 명을 넘어섰다는 집계도 있습니다. 상황이 이런데도 군부는 아랑곳하지 않고 오는 8월쯤 다시 총선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군부가 테러집단이라고 지정한 당은 총선 참여를 못 하게 하는 등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선거법도 고쳐 뒀습니다.
사실상 반군부 진영의 선거 참여를 원천 봉쇄한 셈입니다. 하지만 총선을 통해 '민 아웅 흘라잉' 사령관이 대통령이 된다고 해도 국제사회가 이를 인정하지 않을 거고 그래서 미얀마의 내정 불안과 국민들의 희생은 계속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옵니다. 지금까지 태국과 미얀마 국경에서 KBS 뉴스 김원장입니다.
영상편집:이웅/자료조사:안소현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
미얀마 군부, 6개월간 비상사태 연장 승인: 국영 언론
![](https://blog.kakaocdn.net/dn/HivmJ/btrXXzypbp5/TabO5xdFiXIp0mKsqdHAmK/img.jpg)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 총사령관이 2021년 3월 27일 토요일 미얀마 네피도에서 국군의 날 육군 퍼레이드를 주재하고 있다. (자료 사진: AP 포토)
미얀마 양곤: 미얀마 정권은 국가 비상사태를 6개월 더 연장했다고 대통령 권한대행은 수요일(2월 1일) 국영 TV에서 방송된 지도부 회의에서 말했습니다. 항의".
군사정부 지도자 민 아웅 흘라잉(Min Aung Hlaing) 장군은 화요일 군대가 지원하는 국방안보회의(NDSC)와의 회의에서 다당제 선거가 "국민이 원하는 대로" 치러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긴급 상황에서 열릴 수 없는 투표 일정을 제공하지 않았습니다. 비평가들은 모든 선거가 군대가 권력을 유지하도록 허용하기 위한 가짜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민트 스웨 대통령 권한대행은 "헌법 425조에 따라 (비상사태)는 2회에 한해 부여할 수 있지만 현 상황이 이례적이어서 6개월에 한 번 더 연장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했다. MRTV에서 방송하는 회의에서 말했다
동남아시아 국가의 최고 장군들은 군부가 만든 준 민간 정치 체제 하에서 5년간의 긴장된 권력 공유 끝에 2021년 2월 쿠데타를 주도했습니다.
수요일에 시위대와 추방된 민간인 지도자들은 군대의 "불법적인 권력 장악"을 종식시키겠다고 맹세했습니다. 미얀마 전역의 주요 도시에서는 사람들이 시위를 위해 집에 머물면서 거리가 텅 비었고 수백 명의 민주주의 지지자들이 태국과 필리핀에서 열린 집회에 참석했습니다.
노벨상 수상자 아웅산 수치가 선출한 정부의 전복은 10년 동안의 개혁, 국제적 참여 및 경제 성장을 탈선시켰고 그 여파로 삶이 뒤집힌 흔적을 남겼습니다.
미얀마는 쿠데타 이후 혼란에 빠졌습니다. 서방의 제재가 다시 부과되는 것을 목격한 반대자들에 대한 유혈 진압 이후 저항 운동이 여러 전선에서 군대와 싸우고 있습니다.
주요 상업 도시인 양곤과 만달레이에서 소셜 미디어의 이미지는 쿠데타 반대자들이 정권에 대한 "조용한 시위"라고 부르는 황량한 거리를 보여주었습니다. 민주화 운동가들은 사람들에게 오전 10시에서 오후 3시 사이에 거리에 나가지 말라고 촉구했습니다.
양곤에서도 약 100명의 군 지지자들이 군인들과 함께 집회를 가졌다고 사진이 보여주었습니다.
태국에서는 수백 명의 쿠데타 반대 시위대가 방콕에 있는 미얀마 대사관 밖에서 집회를 열었습니다.
집회에 참석한 불교 승려인 아차리야(Acchariya)는 "올해는 우리가 군사정권을 완전히 근절하는 데 결정적인 해"라고 말했다.
군중 속의 다른 사람들은 "우리는 국민이고 우리에게는 미래가 있다", "혁명이 승리해야 한다"고 외쳤다.
활동가들은 필리핀 수도 마닐라에서도 시위를 벌였다.
Myanmar junta granted six-month state of emergency extension:
State media
![](https://blog.kakaocdn.net/dn/oazvi/btrX02mfVL2/debOyL1qntAUeqXTK1IzwK/img.jpg)
Myanmar's Commander-in-Chief Senior General Min Aung Hlaing presides an army parade on Armed Forces Day in Naypyitaw, Myanmar, on Saturday, Mar 27, 2021. (File Photo: AP Photo)
YANGON, Myanmar: Myanmar's junta extended the country's state of emergency by another six months, the acting president said at a leadership meeting broadcast on state TV on Wednesday (Feb 1), as protesters marked the anniversary of a 2021 military coup with a "silent protest".
Junta leader General Min Aung Hlaing, in a meeting on Tuesday with the army-backed National Defence and Security Council (NDSC), also said multi-party elections must be held "as the people desire".
He did not provide a timeline for the polls, which cannot be held during a state of emergency. Critics have said any elections are likely to be a sham aimed at allowing the military to retain power.
"Although according to the section 425 of the constitution, (a state of emergency) can only be granted two times, the current situation is under unusual circumstances and it is suitable to extend it one more time of six months," Acting President Myint Swe saying said at the meeting broadcast by MRTV.
The Southeast Asian country's top generals led a putsch in February 2021 after five years of tense power-sharing under a quasi-civilian political system created by the military.
Protesters and exiled civilian leaders on Wednesday vowed to end what they called the army's "illegal power grab". In major cities across Myanmar, streets emptied out as people stayed home in protest, while hundreds of democracy supporters attended rallies in Thailand and the Philippines.
The overthrow of the elected government of Nobel laureate Aung San Suu Kyi derailed a decade of reform, international engagement and economic growth while leaving a trail of upended lives in its wake.
Myanmar has been in chaos since the coup, with a resistance movement fighting the military on multiple fronts after a bloody crackdown on opponents that saw Western sanctions re-imposed.
In the main commercial cities of Yangon and Mandalay, images on social media showed deserted streets in what coup opponents called a "silent protest" against the junta. Democracy activists had urged people not to go onto the streets between 10am and 3pm.
There was also a rally in Yangon by about 100 supporters of the military, flanked by soldiers, photographs showed.
In Thailand, hundreds of anti-coup protesters held a rally outside Myanmar's embassy in Bangkok.
"This year is decisive for us to completely uproot the military regime," said Acchariya, a Buddhist monk attending the rally.
Others in the crowd chanted: "We are the people, we have the future" and "The revolution must prevail".
Activists also staged a protest in the Philippine capital, Manila.
ARMY-BACKED COUNCIL ISSUES STATEMENT
The NDSC met on Tuesday to discuss the situation in Myanmar including the actions of the National Unity Government (NUG), a shadow administration formed by opponents, and the so-called people's defence force fighting the army, state media reported.
"The unusual circumstances of the country whereby they are making attempts to seize state power in an insurgent and terror-like ways (was discussed)," the military-owned Myawaddy media said on Tuesday.
Telephone calls to a military spokesperson seeking comment went unanswered.
Myanmar's military took power after complaining of fraud in a November 2020 general election won by Aung San Suu Kyi's party. Election monitoring groups found no evidence of mass fraud.
It declared a state of emergency for a year when it took power and has since extended it twice for six months, with the latest phase expiring on Wednesday.
The constitution allows for two extensions, though some sections appear to give more flexibility on the issue.
The NUG issued a statement of defiance, saying that "together with ethnic allies, who have opposed the military for decades, we will end the military's illegal power grab".
The United States and allies including the United Kingdom, Australia and Canada imposed further sanctions on Myanmar on Tuesday, with curbs on energy officials and junta members, among others.
The junta has pledged to hold an election in August this year. State media recently announced tough requirements for parties to contest, a move that critics say could sideline the military's opponents and cement its grip on politics.
Aung San Suu Kyi's National League for Democracy (NLD) party was decimated by the coup, with thousands of its members arrested or jailed, including Aung San Suu Kyi, and many more in hiding.
It has described this year's planned election as "phoney" and said it would not acknowledge it. The election has also been dismissed as a sham by Western governments.
Some 1.2 million people have been displaced and over 70,000 have left the country, according to the United Nations, which has accused the military of war crimes and crimes against humanity.
미얀마 군부, 쿠데타 기념일 '조용한 파업'으로 서방 제재에 타격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는 미얀마군을 처벌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8c1M2/btrXV0bNEFY/ba0Q4LvmWm5XtIKoM0u4Yk/img.jpg)
영국, 미국, 캐나다는 민간 지역을 무차별적으로 폭격한 혐의를 받고 있는 미얀마 공군에 대한 항공 연료 공급을 중단하기 위한 몇 가지 조치를 포함하여 미얀마 군부에 대해 새로운 제재를 가했습니다.
이번 제재는 2021년 2월 미얀마 군부가 민주적으로 선출된 아웅산 수치 여사의 정부를 축출하고 그녀를 구금하고 나라를 혼란에 빠뜨린 2021년 2월 쿠데타 로부터 2년 후에 발표되었습니다.
그 이후 군부는 대중의 단호한 반대를 통제하기 위해 전국의 마을에 불 을 지르고 민간인에 대한 공습을 시작했으며 민주화 운동을 지원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사람을 구금했습니다.
쿠데타 기념일인 수요일, 도시 지역에서 더 이상 안전하게 시위할 수 없는 활동가들이 "조용한 파업"을 요구한 후 소셜 미디어의 이미지는 미얀마 주요 도시의 빈 거리를 보여주었습니다. 사람들은 군부에 대한 반대를 표시하기 위해 오전 10시부터 몇 시간 동안 집에 머물면서 사업을 중단하도록 권장되었습니다.
사람들에게 "혁명"에 동참할 것을 촉구하는 현수막이 양곤의 다리에 걸려 있는 이미지가 현지 언론에 게재되었습니다.
이웃 태국에서는 수백 명의 사람들이 방콕의 미얀마 대사관에 모였으며 일부는 아웅산 수지의 이미지를 들고 있거나 군대에 반대하는 상징인 세 손가락 경례에 손을 들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양곤에서 친군부 집회가 열렸다. 도시에 있는 미국 대사관은 기념일을 전후하여 "증가하는 반정권 활동과 폭력"에 대해 경고했습니다.
안토니 블링켄 미국 국무장관은 화요일 성명에서 2021년 쿠데타가 미얀마를 "수천 명을 죽이고 난민이 된 비참한 길"에 놓이게 했으며 캐나다 와 영국 과 함께 새로운 제재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호주도 제재를 발표했습니다.
군부는 올해 8월에 선거를 치르겠다고 약속했지만 최근 발표된 엄격한 규정에 따르면 투표는 자유롭지도 공정하지도 않을 것입니다. 군부는 2020년 선거에서 아웅산 수지의 정당이 압승을 거둔 선거에서 광범위한 사기가 있었다고 증거 없이 주장함으로써 쿠데타를 정당화하려 했습니다. Aung San Suu Kyi는 이후 일련의 비공개 재판을 거쳐 30년 이상의 징역형을 선고 받았습니다.
수요일 캐나다가 발표한 제재는 미얀마에 대한 항공 연료의 수출, 판매, 공급 또는 선적을 금지합니다. 영국의 조치는 "야만적인 공습 캠페인을 가능하게 하는 미얀마 공군에 연료를 공급한다"고 말한 아시아 선 그룹과 관련된 기업과 개인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국제앰네스티의 기업 및 인권 연구원 Montse Ferrer는 캐나다와 영국 정부의 조치를 "군대의 전쟁 범죄에 대한 기업의 기여를 종식시키기 위한 중요한 단계"라고 설명했습니다.
“지금까지 정부의 무대응으로 인해 미얀마군은 수입 항공 연료를 사용하여 가족을 황폐화시키고 민간인을 공포에 떨게 하는 공습을 시작했습니다. 영국이 표적으로 삼은 회사는 미얀마 항공 연료 산업의 핵심 업체이지만 국가는 항공 연료의 흐름을 막기 위해 전체 산업에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라고 Ferrer는 말했습니다.
Ferrer는 캐나다가 미얀마에 대한 항공 연료의 직간접적인 공급, 판매 또는 이전(운송, 환적 및 중개 포함)을 중단하는 데에도 캐나다를 따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미국의 제재는 미얀마 에너지부의 고위 지도부, MOGE(Myanmar Oil and Gas Enterprise), 공군, 무기 거래상 및 이전에 지정된 군부 사업 관계자의 가족을 대상으로 합니다. 미국은 또한 연합 선거위원회를 제재했습니다.
이번 주 초 안토니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정치 지도자, 시민 사회 행위자들에 대한 지속적인 체포, 위협, 괴롭힘과 함께 공중 폭격과 민간 주택 불태우기가 강화되는 상황에서 군부가 선거를 하려는 명백한 의도에 대해 우려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언론인”.
동남아시아의 인권 단체 네트워크인 알트션(Altsean)의 설립자인 데비 스토타드는 올해 8월 예정된 선거를 앞두고 "이미 경제와 인간 안보에 영향을 미치는 폭력이 크게 급증했다"고 말했다. , 이것이 계속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미얀마 군 인사에 대한 제재가 느리다는 비판을 받아온 호주는 군부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과 그의 부관인 소 윈을 포함한 16명에 대한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Myanmar Economic Corporation과 Myanmar Economic Holdings Public Company Ltd의 두 법인도 표적이 되었습니다.
*… 작은 부탁이 있습니다. 우리가 200년 전에 출판을 시작한 이래로 수천만 명의 사람들이 Guardian의 두려움 없는 저널리즘을 신뢰했으며 위기, 불확실성, 연대 및 희망의 순간에 우리에게로 향했습니다. 180개국에서 온 150만 명이 넘는 지지자들이 이제 재정적으로 우리에게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 당신도 차이를 만들고 우리를 지원하시겠습니까?
다른 많은 사람들과 달리 Guardian에는 주주도 없고 억만장자 소유자도 없습니다. 항상 상업적 또는 정치적 영향을 받지 않고 영향력이 큰 글로벌 보고를 제공하려는 결의와 열정만 있으면 됩니다. 이와 같은 보고는 민주주의, 공정성, 권력자에게 더 나은 요구를 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모든 사람이 읽을 수 있도록 이 모든 것을 무료로 제공합니다. 우리는 정보 평등을 믿기 때문에 이렇게 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세상을 형성하는 글로벌 이벤트를 추적하고, 사람들과 커뮤니티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의미 있는 조치를 취하도록 영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불 능력에 관계없이 수백만 명이 양질의 진실된 뉴스에 대한 공개 액세스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Myanmar junta hit by western sanctions as ‘silent strikes’ mark coup anniversary
The UK, US, Canada and Australia have announced a range of measures aimed at punishing Myanmar’s military
![](https://blog.kakaocdn.net/dn/bXdme9/btrX1QruZcn/WERSPFZeTm8D5h35egUdQ1/img.jpg)
The sanctions were announced two years on from the 2021 February coup, in which Myanmar’s military ousted the democratically elected government of Aung San Suu Kyi, detaining her and plunging the country into turmoil.
Since then, the junta has torched villages across the country, launched airstrikes on civilians and detained anyone suspected of supporting pro-democracy movements, in an attempt to control determined opposition from the public.
On Wednesday, the anniversary of the coup, images on social media showed empty streets in some of Myanmar’s major cities after activists, who can no longer safely protest in urban areas, called for a “silent strike”. People were encouraged to stay at home and shut their businesses for several hours from 10am to show their opposition to the junta.
Images of banners hanging from bridges in Yangon, calling for people to join the “revolution”, were published in local media.
In neighbouring Thailand, hundreds of people gathered at the Myanmar embassy in Bangkok, with some carrying images of Aung San Suu Kyi or raising their hands in a three-finger salute, a symbol of opposition to the military.
A pro-military rally was held in Yangon, according to reports. The US embassy in the city had warned of “increased anti-regime activity and violence” in the days around the anniversary.
The US secretary of state, Antony Blinken, said in a statement on Tuesday that the 2021 coup had placed Myanmar on “a disastrous path that has killed and displaced thousands” and that fresh sanctions would be imposed in conjunction with Canada and the UK. Australia has also announced sanctions.
The military has pledged to hold elections in August this year, but strict rules that were recently announced suggest the polls will be neither free nor fair. The junta has sought to justify the coup by claiming, without evidence, that there was widespread fraud in the 2020 elections, which Aung San Suu Kyi’s party won in a landslide. Aung San Suu Kyi has since been sentenced to more than three decades in prison after a series of closed-door trials.
The sanctions announced by Canada on Wednesday prohibit the export, sale, supply or shipment of aviation fuel to Myanmar. The UK measures were focused on companies and individuals associated with the Asia Sun group, which it said “supplies fuel to the Myanmar air force enabling its barbaric air raiding campaign”.
Amnesty International’s business and human rights researcher Montse Ferrer described the measures by the Canadian and British governments as “an important step towards ending companies’ contribution to the military’s war crimes”.
“Until now, the inaction of governments has allowed the Myanmar military to use imported aviation fuel to launch airstrikes that have devastated families and terrorised civilians. While the companies targeted by the UK are key players in the aviation fuel industry in Myanmar, countries must take action on the entire industry to stop the flow of aviation fuel,” said Ferrer.
Ferrer said countries should also follow Canada in suspending the direct and indirect supply, sale or transfer – including transit, trans-shipment and brokering – of aviation fuel to Myanmar.
The US sanctions target the senior leadership of Myanmar’s ministry of energy, Myanmar Oil and Gas Enterprise (MOGE), its air force, as well as an arms dealer and a family member of a previously designated business associate of the military. The US also sanctioned the Union Electoral Commission.
Earlier this week, the UN secretary general, António Guterres, said he was concerned by the military’s apparent intention to hold elections “amid intensifying aerial bombardment and burning of civilian houses, along with ongoing arrests, intimidation and harassment of political leaders, civil society actors and journalists”.
Debbie Stothard, the founder of Altsean, a network of human rights groups in south-east Asia, said the run-up to promised elections in August this year had “already featured a huge spike in violence that has impacted the economy and human security”, adding that this would continue.
Australia, which has been criticised for its slowness to impose sanctions on Myanmar’s military figures, announced measures against 16 people, including the head of the junta, Min Aung Hlaing, and his deputy, Soe Win. Two entities, the Myanmar Economic Corporation and Myanmar Economic Holdings Public Company Ltd, were also targeted.
… we have a small favour to ask. Tens of millions have placed their trust in the Guardian’s fearless journalism since we started publishing 200 years ago, turning to us in moments of crisis, uncertainty, solidarity and hope. More than 1.5 million supporters, from 180 countries, now power us financially – keeping us open to all, and fiercely independent. Will you make a difference and support us too?
Unlike many others, the Guardian has no shareholders and no billionaire owner. Just the determination and passion to deliver high-impact global reporting, always free from commercial or political influence. Reporting like this is vital for democracy, for fairness and to demand better from the powerful.
And we provide all this for free, for everyone to read. We do this because we believe in information equality. Greater numbers of people can keep track of the global events shaping our world, understand their impact on people and communities, and become inspired to take meaningful action. Millions can benefit from open access to quality, truthful news, regardless of their ability to pay for it.
Whether you give a little or a lot, your funding will power our reporting for the years to come. Support the Guardian from as little as $1 – it only takes a minute. If you can, please consider supporting us with a regular amount each month. 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