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2. 3. 15:08ㆍ아시아 소식/버마소식
'더 이상 양곤에 살고 싶지 않다':
미얀마 쿠데타 2년 후 해외로 일자리를 떠나는 숙련 노동자
2021년 2월 1일 미얀마의 군사 쿠데타 이후 숙련된 노동력과 자본이 모두 이 지역의 다른 도시로 떠나고 있다는 징후가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SJNOg/btrX2qe1HkU/upuZAkBjxlo69X4TdgHiRK/img.jpg)
파일 사진: 미얀마 시민들이 2021년 2월 17일 태국 방콕의 유엔 사무소 앞에서 군사 쿠데타에 항의하고 있다. REUTERS/Soe Zeya Tun/File Photo
BANGKOK: Myoe는 미얀마에 있는 고국으로 돌아갈 계획이 없습니다.
2년 전 일어난 쿠데타는 그의 나라를 혼란에 빠뜨리고 그의 미래를 불확실성으로 가득 채웠습니다.
격렬한 내전, 반체제 인사에 대한 박해, 경제 위기로 인해 그는 상황이 나아지기를 계속 희망하기가 어려웠습니다. 몇 주, 몇 달이 지나면서 민주주의의 귀환은 먼 꿈처럼 느껴지기 시작했습니다.
슬프고 낙담한 37세의 그는 통신 부문에서 일을 그만 두었습니다. 그는 양곤에 있던 가족들과 작별하고 지난해 3월 방콕으로 이사했다.
그는 CNA와의 인터뷰에서 "나는 고정 수입이 없는 프리랜서이기 때문에 매일 스트레스를 받지만 매우 흥분되고 즐기고 있다"고 말했다.
태국어를 할 줄 모르고 정규 수입이나 취업 허가가 없는 Myoe에게 외국 생활은 쉽지 않습니다. 그는 태국에서 합법적으로 일할 수 있는 일자리를 찾는 동안 집세를 제때 낼 수 있을지 끊임없이 고민해야 합니다.
그래도 그는 집으로 돌아가는 것보다 그것을 선호하는데, 그곳에서 그의 미래 전망은 군사 통치 하에서 암울해 보인다.
많은 미얀마 사람들이 그의 견해를 공유합니다. 2021년 2월 1일 민 아웅 량(Min Aung Hliang) 육군참모총장이 집권한 후 전문가들이 해외로 이전하면서 국가가 두뇌 유출에 시달리고 있다는 징후가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djliQc/btrXWJOHGVu/VEqgDD5B8vKKykgcWt4580/img.jpg)
광범위한 실업, 치솟는 원자재 가격, 미얀마 차트의 폭락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해외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게 되었습니다. 여기에는 Myoe, 그의 사촌, 친구 및 이전 동료가 포함됩니다.
“그들은 더 이상 양곤에 살고 싶어하지 않습니다. 그냥 모든 걸 거기에 두고 여기까지 왔다”고 말했다.
"내가 아는 모든 사람들이 여기 있기 때문에 집에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싱가포르, 태국, 아랍에미리트(UAE)는 미얀마 사무직 전문가들이 해외로 이주할 수 있는 인기 있는 목적지 중 하나입니다.
Myoe에 따르면 환대 부문에서 일자리를 구하는 사람들은 UAE로 이주하는 경향이 있으며 엔지니어는 일반적으로 싱가포르를 선택합니다. 명확한 경력 계획이 없는 사람들은 이웃 태국이 선호되는 옵션입니다.
그러나 해외에서 생활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Myoe는 자신을 포함한 많은 미얀마 국외 거주자들이 언어 장벽과 비자 문제로 인해 태국에서 정규직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태국 여행 후 그들의 단기 해결책은 교육 기관에 등록하여 학생 비자를 얻는 것입니다. 학생 비자를 소지한 사람은 일을 할 수 없지만 취업이나 사업 기회를 찾는 데는 지장이 없습니다.
예를 들어 Myoe는 태국어 과정을 수강하고 있으며 미얀마에 기반을 둔 클라이언트의 에이전트로 프리랜서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들이 방콕에서 서비스를 받고 싶다면 내가 대신 해줄 것입니다.”라고 그는 설명했습니다. “그들이 콘도미니엄 단위를 원하면 제가 찾아드리겠습니다. 내가 여기 있으면서 그들을 위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프리랜서 수입이 안정적이지는 않지만 묘에의 생활비를 충당하기에는 충분하다. 그는 주로 온라인에서 일하며 한 달에 약 50,000-70,000바트(미화 1,520-2,130달러)를 벌 수 있습니다. 양곤에서는 미화 610달러입니다.
"또는 때로는 수입이 전혀 없습니다."라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미얀마의 불확실한 미래
세계은행은 작년에 COVID-19의 영향과 미얀마 쿠데타의 여파로 인구의 약 40%가 국가 빈곤선 아래에 살고 있는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거의 10년 동안의 빈곤 감소 진전이 지워졌다고 보고했습니다.
세계은행은 2022년 7월 발표한 미얀마 경제 보고서에서 “불평등은 이미 가난한 사람들이 더 깊은 궁핍에 빠지면서 악화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
실업도 국가에서 큰 문제입니다. 국제노동기구(ILO)에 따르면 2021년에만 약 180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졌다. 지난해 8월 보고서 에 따르면 미얀마는 쿠데타 이후 18개월이 지난 지금도 "많은 실직과 양질의 일자리 적자 증가에 깊은 영향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2022년 상반기에 "일자리의 작은 회복"에도 불구하고 미얀마의 고용이 2020년 수준보다 훨씬 낮고 식량과 연료 가격 상승이 경제와 생계에 더 많은 압박을 가하고 있다고 결론지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pq1tM/btrXWwICRPo/2fev6i8c4qSnjI2jEwk2d1/img.jpg)
아웅(38)으로 알려지기를 원했던 또 다른 미얀마 국외 거주자는 “문제가 너무 많고 많은 사람들이 우리나라에서 생존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의 가족은 Shan 주의 Kalaw 산악 마을에서 게스트하우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국제 및 국내 여행자를 모두 환영했지만 쿠데타 이후 변경되었습니다.
그는 CNA에 "이제 해외에서 오는 사람은 없다"고 말했다.
“상황이 너무 안타까웠어요. 나는 우리 나라에서 우리의 미래를 잃을 것 같았다. 그래서 방콕에 오기로 인생 계획을 바꿨어요.”
Aung은 작년 2월 태국 수도에서 일자리나 사업 기회를 찾기 위해 미얀마를 떠났습니다. 그의 부모와 두 형제는 게스트하우스를 계속 운영하기 위해 Kalaw에 남아 있습니다.
결국 가족은 사업을 태국으로 이전하고 미얀마 여행자에게 환대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미얀마 사람들에게 미래는 생존하기 어렵습니다.”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미얀마에는 실업자가 너무 많습니다. 그래서 우리 젊은이들은 해외로 나갑니다.”
기술 및 비즈니스 개발 분야의 2개 학위와 환대 부문에서 8년의 경력에도 불구하고 Aung은 방콕에서 일자리를 구할 수 없었습니다.
많은 미얀마 주재원들처럼 그는 태국어로 의사소통을 할 수 없고 학생 비자만 소지하고 있어 일할 수 없습니다.
현재 그는 인테리어 디자인을 공부하고 있으며 가족의 재정적 지원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는 집으로 돌아갈 계획이 없습니다. 그는 군사 정권이 끝나더라도 미얀마 경제가 회복되려면 여전히 수년이 걸릴 것이라고 믿는다.
Aung은 “비자로 일자리를 찾을 수 있다면 이곳에 머물거나 다른 나라를 시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태국, 미얀마 부동산 소유주 급증
미얀마는 오랜 군사통치의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1962년 네윈이 주도한 쿠데타 이후 49년간 군부가 통치했다.
이 나라는 2021년에 또 다른 군사적 인수가 그 진로를 뒤집기 전에 10년 동안 민간 통치를 즐겼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WAIDx/btrX1AvVX8j/q9ciLBRHKIHDrynieCEe31/img.jpg)
미얀마에 거주한 태국 블로거 나띠 탕미상(Natty Tangmeesang)은 “처음 1년 동안 많은 사람들이 계속 싸웠지만 상황이 계속되면서 상황이 예전으로 돌아갈 방법이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녀는 10년 이상 이 나라의 발전을 면밀히 관찰했습니다. 미얀마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그녀의 페이스북 페이지는 현재 약 76,000명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군사 쿠데타가 언제까지 지속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과거에 일어난 일로 판단하면 아주 오랜 시간, 수십 년 동안 지속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움직일 수 있다면 옮기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라고 그녀는 말했습니다.
태국에서 탕미상은 CNA에 부유한 미얀마인들이 kyat의 불안정으로 인해 투자를 위해 부동산을 구입하기 시작했다고 말했습니다.
작년에 태국 부동산 부문에서 미얀마의 콘도미니엄 소유가 갑자기 증가했습니다.
태국 부동산 정보 센터(REIC)의 데이터에 따르면 2022년 1월부터 9월까지 외국인이 7,290채의 부동산을 구입했습니다. 가장 큰 구매자 그룹은 중국에서 왔으며 러시아,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및 미얀마가 그 뒤를이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YafkM/btrX15Ww4ao/XKxpF4KN5bLrwih2H1yC5K/img.jpg)
그러나 가치 측면에서 REIC는 미얀마 바이어들 사이에서 지출이 분명히 급증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같은 기간 콘도 구매를 합친 금액은 13억4000만 바트로 중국, 미국, 프랑스, 러시아에 이어 다섯 번째로 큰 지출을 기록했다.
REIC 보고서에 따르면 미얀마 바이어는 2018년 이후로 상위 10위권에 진입한 적이 없습니다.
"태국 시장은 전통적으로 중국, 홍콩, 대만, 영국 및 싱가포르 구매자가 지배했지만 CBRE 거래를 기반으로 이제 동남아시아의 다른 대상 그룹을 볼 수 있습니다."라고 Artitaya Kasemlawan 주택 판매 프로젝트 책임자는 말했습니다. CBRE 태국, 부동산 컨설턴트 회사.
“예를 들어 Central Lumpini 및 Sukhumvit과 같은 주요 위치에 있는 미얀마의 고급 콘도미니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CBRE의 초점은 럭셔리 부문에 있기 때문에 평균 거래 금액은 미화 50만 달러에서 250만 달러이며 이러한 거래의 단위 크기는 생활 및 장기 투자에 적합합니다.”라고 CNA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말했습니다.
부동산을 살 수 없는 사람들은 계속 일자리를 찾아야 하고, 이는 스트레스가 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돈이 최우선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너무 까다로울 수 없습니다. 양곤에서는 할 수 있었습니다. 내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다른 옵션을 선택합니다. 여기서는 할 수 없습니다. 선택의 여지가 많지 않습니다.”라고 Myoe가 말했습니다.
그의 친구들 중 일부는 해외로 이주한 후 높은 학력에도 불구하고 좋은 직장을 구하지 못해 우울해하기까지 했습니다.
그는 “우리는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묘에는 신원 보호를 위해 이름이 변경되었습니다.
Bahasa Melayu에서 이 이야기를 여기에서 읽으십시오.
EXCLUSIVE: A special report from inside Myanmar
Sky News has been give rare access to film inside Myanmar, two years after a military coup ended democracy and cut the country off from the West.
Read the full story: https://news.sky.com/story/land-of-fe...
At least 2,700 pro-democracy activists and civilians have been killed, and more than 13,600 detained, since the junta took over. The country's leader, Aung San Suu Kyi, was jailed for 33 years in a series of trials that were closed to journalists and independent observers.
Civil resistance has continued against the military takeover, with torture, mass killings and the burning of villages by soldiers that are accused of cooperating with opposition activists. On top of that, the junta generals are accused of organising the genocide of the minority Rohingya, forcing them out of the country. Cordelia Lynch and her team were invited to film inside Myanmar by the military government.
'Don’t want to live in Yangon anymore': Skilled workers leaving for jobs abroad 2 years after Myanmar coup
Since the Feb 1, 2021 military coup in Myanmar, there are signs that both skilled labour and capital are leaving the country for other cities in the region.
![](https://blog.kakaocdn.net/dn/kzLQk/btrXWK7WdwA/TCVlmVvKbynrXueYRxdRn0/img.jpg)
FILE PHOTO: Myanmar citizens protest against the military coup in front of the UN office in Bangkok, Thailand February 17, 2021. REUTERS/Soe Zeya Tun/File Photo
BANGKOK: Myoe has no plan to go back to his homeland in Myanmar.
A coup d’etat two years ago has thrown his country into turmoil and filled his future with uncertainty.
The raging civil war, persecution of dissidents and economic crisis made it hard for him to keep hoping that things would get better. The return of democracy began to feel like a distant dream as the weeks and months went by.
Sad and dejected, the 37-year-old quit his job in the telecommunication sector. He said goodbye to his family in Yangon and moved to Bangkok in March last year.
“I'm very excited and enjoying it even though I'm stressed every day because I'm freelancing with no fixed income,” he told CNA.
Life in a foreign country is challenging for Myoe, who cannot speak Thai and has no regular income or work permit. He has to constantly fret over whether he can pay his rent on time, while searching for job opportunities that would allow him to work legally in Thailand.
Still, he prefers it to returning home, where his future prospects seem bleak under military rule.
Many Myanmar people share his view. There are signs that the country is suffering from a brain drain as professionals relocated overseas after the military under army chief Min Aung Hliang seized power on Feb 1, 2021.
![](https://blog.kakaocdn.net/dn/cAeMgj/btrXZuiZvjZ/HfloheOlUbIY7GwxKNKLD1/img.jpg)
Widespread unemployment, soaring commodity prices and the plunge of the Myanmar kyat have forced many people to seek new opportunities abroad. These include Myoe, his cousins, friends and former colleagues.
“They don’t want to live in Yangon anymore. They just left everything there and came here,” he said.
“I feel like I’m home because everybody I know is here.”
Singapore, Thailand and the United Arab Emirates (UAE) are among the popular destinations for Myanmar white-collar professionals with the means to relocate overseas.
According to Myoe, those seeking jobs in the hospitality sector tend to move to the UAE while engineers usually opt for Singapore. As for people with no clear career plan, neighbouring Thailand is a favoured option.
However, making a living abroad is not easy. Myoe said a number of Myanmar expatriates including himself are struggling to find permanent jobs in Thailand due to the language barrier and visa issues.
Their short-term solution after travelling to Thailand is to enrol at an educational institution to obtain a student visa. Those who are on a student visa are not allowed to work, but this does not stop them from seeking jobs or business opportunities.
Myoe, for example, is taking a Thai language course and freelancing as an agent for clients based in Myanmar. “If they want to get some service done in Bangkok, I’ll do it for them,” he explained. “If they want to get a condominium unit, I’ll find it for them. I can be here and collect information for them.”
Income from freelancing may not be stable but it is enough to cover Myoe’s living expenses. He mostly works online and can earn about 50,000-70,000 baht (US$1,520 to US$2,130) in a month, compared to US$610 in Yangon.
“Or sometimes, no income at all,” he added.
MYANMAR’S UNCERTAIN FUTURE
The World Bank reported last year that the impacts of COVID-19 and the aftermath of the Myanmar coup have erased almost a decade of poverty reduction progress in the Southeast Asian country, with about 40 per cent of the population living below the national poverty line.
“Inequality is estimated to have worsened, with those already poor falling into deeper destitution,” said the World Bank in its economic report on Myanmar published in July 2022.
Unemployment is also a big problem in the country. An estimated 1.8 million jobs were lost in 2021 alone,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LO). Its report in August last year said Myanmar remained “deeply affected by heavy job losses and growing decent work deficits” 18 months after the coup.
Despite “a small recovery in jobs” in the first half of 2022, the report concluded that employment in Myanmar was well below 2020 levels, and that rising prices of food and fuel have placed more pressure on the economy as well as livelihoods.
![](https://blog.kakaocdn.net/dn/zzbJS/btrX18TgCEW/uwyJqxVcnVYBfNlkA7gaKk/img.jpg)
“There are so many problems and it’s a very difficult situation for so many people to survive in our country,” said another Myanmar expatriate, who only wanted to be known as Aung, 38.
His family operates guesthouses in the mountainous town of Kalaw, Shan State. They used to welcome both international and domestic travellers but that changed after the coup.
“Now, there is no one coming from abroad,” he told CNA.
“I was very disappointed in the situation. I felt like we’d lose our future in our country. That’s why I changed my life plan to come to Bangkok.”
Aung left Myanmar in February last year, hoping to find a job or a business opportunity in the Thai capital. His parents and two siblings remain in Kalaw to keep the guesthouses running.
Eventually, the family plans to move their business to Thailand and provide hospitality services to Myanmar travellers.
“For Myanmar people, the future is difficult to survive,” he said.
“There are so many jobless people in Myanmar. So, our young people go abroad.”
Despite his two degrees in technology and business development, plus eight years of experience in the hospitality sector, Aung was not able to secure a job in Bangkok.
Like many Myanmar expatriates, he cannot communicate in Thai and only holds a student visa, which does not allow him to work.
Currently, he is studying interior design and relying on financial support from his family. He has no plan to return home. Even if the military regime comes to an end, he believes Myanmar’s economy will still take many years to recover.
“I’ll stay here or try another country if I can find a job with a visa,” said Aung.
THAILAND SEES A SURGE IN MYANMAR PROPERTY OWNERS
Myanmar has a long history of military rule. It was governed by the military for 49 years, following a coup led by Ne Win in 1962.
The country enjoyed a decade of civilian rule before another military takeover reversed its course in 2021.
![](https://blog.kakaocdn.net/dn/buA2V4/btrX1x66Ofe/Bl1XZs2Ju5Z2tkdCogQMok/img.jpg)
“Many people initially kept fighting in the first year, but as the situation dragged on, it seems like there’s no way for things to return to how they used to be,” said Natty Tangmeesang, a Thai blogger and former resident of Myanmar.
She has closely monitored developments in the country for more than a decade. Her Facebook page, which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Myanmar, currently has about 76,000 followers.
“With this military coup, nobody knows how long it will last. Judging from what happened in the past, it could last a very long time, many decades. So, many people think if they can move, they’d better do it,” she said.
In Thailand, Tangmeesang told CNA that wealthy Myanmar people have begun to buy properties for investment due to the instability of the kyat.
Last year, the Thai property sector saw a sudden increase in Myanmar ownership of condominium units.
Data from Thailand’s Real Estate Information Centre (REIC) showed that between January and September 2022, 7,290 such units were purchased by foreigners. The biggest group of buyers came from China, followed by Russia,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Germany, France and Myanmar.
![](https://blog.kakaocdn.net/dn/b9Sm7E/btrXXhEuiLF/DOBBCKMMPzY39jAEKaCpCk/img.jpg)
In terms of value, however, REIC pointed out a clear surge in spending among Myanmar buyers. Their combined purchases of condo units during the same period were recorded at 1.34 billion baht, making them the fifth biggest spenders after Chinese, Americans, French and Russians.
According to the REIC report, Myanmar buyers had never made it to the top ten list since 2018.
“The Thai market has been traditionally dominated by Chinese, Hong Kong, Taiwanese, British, and Singaporean buyers, but based on CBRE transactions, we are now seeing other target groups from Southeast Asia,” said Artitaya Kasemlawan, head of Residential Sales Project at CBRE Thailand, a property consultant firm.
“For example, there is increased interest in luxury condominiums from Myanmar in prime locations like Central Lumpini and Sukhumvit. As CBRE’s focus is on the luxury segment, the average transaction ranges from US$ 500,000 to US$ 2.5 million, and the unit sizes of these transactions are suitable for living and long-term investment,” she told CNA in a written interview.
For those who cannot buy properties, they have to keep looking for jobs in order to stay on, and that can be stressful.
“Here, money has become the first priority. So, we can’t be very choosy. In Yangon, I could. If I didn’t like something, I’d go for another option. I can’t do that here. I don’t have so many choices,” said Myoe.
Some of his friends even felt depressed after moving abroad because they have not been able to get a good job despite their high educational qualifications.
“We are in a very difficult situation,” he said.
*Myoe’s name has been changed to protect his identity.
Read this story in Bahasa Melayu here.
Subscribe to our YouTube channel for free here: https://sc.mp/subscribe-youtube
February 1, 2023, marks two years since Myanmar’s military staged a coup and seized control of the popularly elected government.
Since the takeover, Senior General Min Aung Hlaing’s junta has remained embroiled in a bitter civil war with opposition groups across the country, resulting in thousands of casualties and mass displacement. Under military rule, the nation’s currency has fallen 40 per cent, while opium production, driven by economic instability, has soared to a nine-year high.
Experts doubt the junta will make good on its promise to hold elections by August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