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2. 15:33ㆍ아시아 소식/버마소식
미얀마에서 규모 7.7의 대지진이 발생해 방콕의 빌딩이 무너졌습니다
https://youtu.be/rfUqKO8KTZI?si=osuGHuJu6Q7GXT5W
규모 7.7의 지진이 미얀마를 강타하고 태국과 중국에서도
진동이 느껴졌습니다.
7.7-magnitude quake hits Myanmar, tremors also felt in
Thailand and China
https://youtu.be/ujUgXj8UDzo?si=LrA_ejhnwtufMeBk
규모 7.7의 지진으로 최소 8명 사망 미얀마, 태국
At least 8 dead after 7.7 magnitude earthquake rocks
Myanmar, Thailand
태국 방콕에서 대규모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규모 7.7 지진
Massive Earthquake in Bangkok, Thailand! 7.7 Magnitude Quake
Collapses B...
https://youtu.be/A5-A4DlojCw?si=4-E2MAjmkojKmrmL
Myanmar 7.7 earthquake collapses buildings in Thailand, tremors
shake Ch...
https://youtu.be/Bc7gDRX8-9U?si=QTQ9ogGTv08TEv1z
미얀마서 7.7 강진…1천km 방콕에선 건물 붕괴/"미얀마 대규모
사상자 발생"…"비상사태 선포"/2025년 3월 28일...
https://www.youtube.com/live/13vP2AYd4zI?si=oL33ULJq4gqUA1KF
미얀마 7.7 지진에 방콕서 공사중이던 고층 빌딩 붕괴…
"근로자 수십명 매몰" / 연합뉴스TV
https://www.youtube.com/live/15GWYVAGirQ?si=O0gA_45l75GzbQ5q
https://search.app/abnDNtztwMCSeXUN7
Thailand Warned Not to Roll Red Carpet for ‘War Criminal’
Myanmar Junta Boss

Campaign posters by Justice for Myanmar and Defend Myanmar Democracy urge host Thailand and BIMSTEC member states to bar junta chief Min Aung Hlaing from next week’s summit.
Human rights activists and Myanmar pro-democracy groups are intensifying their calls to prevent Myanmar junta leader and “wanted war criminal” Min Aung Hlaing from attending a high-profile regional summit in Bangkok next week.
Reports suggest the junta leader will attend the Bay of Bengal Initiative for Multi-Sectoral Technical and Economic Cooperation (BIMSTEC) Summit hosted by Thailand on April 3-4, despite his regime’s ongoing targeted attacks on civilians in resistance-held territory.
Thai PBS reports that a high-placed source confirmed Min Aung Hlaing will join the 6th BIMSTEC Summit on Thursday and Friday next week. However, the Thai Ministry of Foreign Affairs declined to confirm his attendance when contacted by a reporter.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is preparing an arrest warrant against the military leader for crimes against humanity during deadly “clearance operations” against the Rohingya ethnic minority in 2017. His coup four years later was followed by a military crackdown on opponents that has killed thousands.
Human rights groups stated that allowing Min Aung Hlaing to participate in the summit would be a blatant endorsement of the military regime’s legitimacy, undermining efforts to hold it accountable for its crimes.
Since the February 2021 coup, Myanmar’s military regime has waged a brutal campaign of terror against the population, including indiscriminate airstrikes, mass arrests, and executions. The Assistance Association for Political Prisoners (AAPP) reports that the junta has killed more than 6,400 people and arrested over 22,000.
BIMSTEC, comprising India, Nepal, Bhutan, Bangladesh, Myanmar, Thailand, and Sri Lanka, was founded to foster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and stability.
Pro-democracy group Defend Myanmar Democracy condemned the invitation to Min Aung Hlaing, stating, “This war criminal – responsible for severe human rights violations in Myanmar – would be received with full diplomatic honors.”
The group further warned that if Thailand “rolls out the red carpet for a war criminal, it will not be diplomacy – it will be complicity.”
“This would amount to endorsing the junta’s actions and insulting the principles of justice and democracy,” it stated.
Rights group Justice for Myanmar (JFM) condemned BIMSTEC’s dealings with the junta as “shameful”, criticizing the bloc for legitimizing Min Aung Hlaing’s leadership by publishing his statements and referring to him as the “Honorable Chairman of the State Administrative Council of Myanmar.”
BIMSTEC also invited the regime’s foreign minister to attend its Sri Lanka Summit in 2022 and host the 4th Meeting of the BIMSTEC National Security Chiefs in 2024.
In contrast,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has banned all high-level junta officials from its summits.
JFM said BIMSTEC involvement has enabled the junta to bolster its capabilities, gain international legitimacy, produce propaganda, and strengthen ties with bloc members.
“BIMSTEC and its member nations must cease this disgraceful complicity in the Myanmar military’s atrocity crimes,” JFM said in a statement issued on Tuesday.
Defend Myanmar Democracy also urged BIMSTEC and its members to reject the “criminal” Myanmar junta and bar Min Aung Hlaing and his representatives from next week’s summit.
미얀마 내전 - 이제는 21%만 통치하는 군부 정권
https://search.app/NTaa3xjvw4RXw9pz9
트럼프, 43개국 국민의 미국 입국을 제한 조치에 대한 정보 - SHADED COMMUNITY
트럼프 행정부는 보도에 따르면 수십 개국의 시민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새로운 여행 금지 조치를 시행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이 금지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첫 임기 동안 부과한
www.shadedcommunity.com

트럼프 행정부는 보도에 따르면 수십 개국의 시민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새로운 여행 금지 조치를 시행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이 금지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첫 임기 동안 부과한 이전 여행 금지 조치보다 훨씬 많은 최대 43개국에 적용될 것입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금지 조치에 대한 내용, 이전 정책과 비교한 내용, 그리고 이 국가의 시민이 알아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새로운 여행 제한 조치는 최대 43개국의 시민을 대상으로 할 수 있습니다. 이 국가는 세 가지 범주로 나뉩니다.
비자 전면 정지: 아프가니스탄, 이란, 시리아, 쿠바, 북한을 포함한 10개국은 미국 비자가 전면 정지될 수 있습니다. 즉, 해당 국가의 시민은 관광, 사업, 학업을 포함한 어떠한 목적으로든 미국으로 여행할 수 없습니다.
부분적 비자 정지: 에리트레아, 아이티, 라오스, 미얀마, 남수단 등 5개국으로 구성된 두 번째 그룹은 관광, 학생 및 기타 이민 비자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적 정지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일부 예외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시범 기간: 벨로루시, 파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 26개국으로 구성된 세 번째 그룹은 보안 및 심사 프로세스의 인식된 결함을 해결하기 위해 60일이 주어집니다.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이러한 국가는 부분적 정지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이 목록은 아직 검토 중이며 변경될 수 있으며 미국 국무장관을 포함한 고위 관리의 최종 승인이 필요합니다.
전체 또는 부분적 비자 정지를 고려 중인 국가에는 과거 금지령에서 익숙한 이름과 새로운 이름이 모두 포함됩니다. 북한과 쿠바와 같은 일부 국가는 이미 여행 제한에 직면했지만 벨로루시와 에리트레아와 같은 다른 국가는 새롭게 제안된 대상입니다.
미국 정부는 국가 안보 위험을 해결하기 위해 여행자를 “심사하고 선별”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이 새로운 제한 조치는 그러한 우려를 더욱 증폭시킬 가능성이 높습니다.
Category | Countries Affected |
Red Category | Afghanistan, Bhutan, Cuba, Iran, Libya, North Korea, Somalia, Sudan, Syria, Venezuela, Yemen |
Orange Category | Belarus, Eritrea, Haiti, Laos, Myanmar, Pakistan, Russia, Sierra Leone, South Sudan, Turkmenistan |
Yellow Category | Angola, Antigua and Barbuda, Benin, Burkina Faso, Cambodia, Cameroon, Cape Verde, Chad, Republic of Congo,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Dominica, Equatorial Guinea, Gambia, Liberia, Malawi, Mali, Mauritania, St. Kitts and Nevis, St. Lucia, São Tomé and Príncipe, Vanuatu, Zimbabwe |
트럼프의 첫 임기 여행 금지령과 비교한 내용
최근의 금지령은 트럼프가 첫 임기 동안 시행한 여행 금지령과 유사합니다. 2017년에 도입된 그의 초기 정책은 주로 무슬림이 다수인 여러 국가를 대상으로 했습니다. 이 금지령은 법원이 이전 버전을 무효화하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했지만 결국 법이 되었습니다.
이 새로운 제한 조치는 여러 면에서 이전 금지령을 넘어섭니다. 여기에는 아이티와 벨로루시와 같이 원래 목록에 포함되지 않았던 국가가 포함되며 미국이 심사 관행이 부적절하다고 판단하는 정부에 대한 추가 조사가 이루어집니다.
새로운 여행 금지령의 영향
이 새로운 금지령이 시행된다면 미국 이민 정책과 국제 관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잠재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여행 중단: 금지된 국가의 시민은 특별 면제 자격이 없는 한 미국을 방문할 수 없습니다. 이는 가족, 학생, 비즈니스 전문가 및 관광객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비자 취소: 영향을 받는 국가의 기존 비자 소지자의 비자가 취소될지는 불분명합니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현재 비자로 미국에 있는 사람들에게 불안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학생 및 전문가에게 미치는 영향: 일부 비자 정지는 특히 국제 학생 및 전문가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미얀마 및 남수단과 같은 국가에서 온 사람을 포함하여 교육 목적으로 여행하는 개인은 학생 비자를 받는 데 추가적인 장애물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금지된 국가의 시민이 알아야 할 사항
여행 금지 대상 국가에 거주하는 경우 다음 사항을 염두에 두십시오.
– 비자 제한: 미국 비자 취득 또는 갱신에 대한 제한 가능성에 대비하십시오. 일, 학업 또는 관광을 위해 미국으로 여행할 계획이라면 해당 국가가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에 따라 계획을 조정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기존 비자 소지자: 이미 미국 비자를 소지한 경우 해당 비자의 상태가 새로운 금지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비자가 전면 정지된 국가의 개인은 금지 이전에 발급된 경우에도 비자가 취소될 수 있습니다.
– 그린카드 소지자: 합법적 영주권자(그린카드 소지자)인 경우 금지에서 면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시위나 정치 운동과 같은 특정 활동에 연루된 특정 개인은 추가 조사를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 최신 정보 확인: 상황이 변화하고 있으므로 여행 금지에 대한 최신 뉴스와 공식 발표에 대해 최신 정보를 받으십시오. 제한이 귀하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걱정된다면 이민 변호사나 자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트럼프는 첫 임기 동안 오늘날 합법적인 이민자의 3분의 2에 가까운 사람들을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금지 조치를 시행했습니다. 새로운 금지 조치는 범위가 훨씬 더 넓어져 3개 대륙에 걸쳐 더 넓은 그물을 던지고 앞으로 여러 세대에 걸쳐 미국의 이민 환경을 재편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트럼프, 41개국 대상 미국 입국 제한 추진"...중국인 유학생은?
/ YTN
https://youtu.be/w_XneQVusH8?si=289SDUOkNBz3O_2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