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버마족 군부 쿠데타 이후 잊혀져 가고 있는 현재 상황 / 미얀마 군부의 전투기 공습에 맞서 싸우는 시민들 / 미얀마 군부 쿠데타 3년…‘잊혀진 비극’은 진행형 / 국가 비상사태 연장' , '3천 명 사망' 미얀마는 왜 이렇게 됐을까? / 중국, 미얀마 반군 공세에 접경지 실사격 훈련…태국은 F-16 배치까지
2024. 5. 4. 02:03ㆍ아시아 소식/버마소식
미얀마 버마족 군부쿠데타 이후 잊혀져 가고있는 현재 상황
버마의 젊은이들은 징집을 피하기 위해 이웃 나라 태국으로 도망친다
Young Burmese flee to neighbouring Thailand to avoid conscription
Myanmar's military junta, which took power in a coup in February 2021, is increasingly facing armed resistance. Last October, an alliance of ethnic rebel groups and pro-democracy activists launched a major offensive across the country. In response, the junta recently announced mandatory conscription for all men aged 18 to 35 and women aged between 18 and 27. As a result, thousands of young people are now fleeing the country to avoid being called up. Most are heading to neighbouring Thailand, which is bracing for an influx of refugees. FRANCE 24's William de Tamaris reports from the Thai border.
2021년 2월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미얀마 군사정권은 무장 저항에 점점 더 직면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소수민족 반군 단체와 민주화 운동가들의 연합이 전국적으로 대대적인 공세를 개시했다. 이에 대응하여 군부는 최근 18세에서 35세 사이의 모든 남성과 18세에서 27세 사이의 여성에 대한 의무 징집을 발표했습니다. 그 결과, 현재 수천 명의 젊은이들이 징집을 피하기 위해 이 나라를 떠나고 있습니다. 이들 대부분은 난민 유입에 대비하고 있는 이웃 나라 태국으로 향하고 있다. 프랑스 24의 윌리엄 드 타마리스가 태국 국경에서 보도합니다.
(서울=뉴스1) 조윤형 기자 = 중국 인민해방군 남부전구는 17일(이하 현지시간) 웨이보(微博·중국판 엑스) 공식 계정을 통해 “이날부터 중국-미얀마 접경 지역에서 대공 방어 실사격 훈련을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훈련 종료 시점과 대상 국가를 언급하진 않았는데요.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해당 훈련은 반군이 최근 인도, 방글라데시 국경 지역에서 영역을 넓힌 데 이어 태국과의 국경 무역 거점인 미야와디를 점령하는 등 미얀마 정부군과 반군간 전투가 격렬해지고 있는 가운데 이뤄집니다. 실제로 접경지에서 미얀마 정부군과 반군의 무력 충돌로 포성이 끊이질 않자 중국뿐만 아니라 태국 역시 즉각 경계 태세에 돌입했죠.
태국이 지난 10일 F-16 전투기와 장갑차를 배치해 서부 국경도시 매솟 일대를 순찰했다고 AFP통신은 전했습니다. 매솟과 미얀마 카렌주(州) 국경도시 미야와디를 연결하는 다리에도 특수부대 등 태국 군인들이 집중 투입됐는데요. 앞서 카렌민족연합(KNU)은 지난 6일 미야와디에서 서쪽으로 10㎞ 떨어진 군부 군사기지를 장악해 약 600명 이상의 미얀마 군과 경찰이 투항했다고 밝힌 바. 미야와디는 미얀마 정부군의 대규모 기지가 있던 군사적 요충지 중 하나입니다.
(서울=뉴스1) 정희진 기자 = 지난 25일부터 나흘 동안 중국이 미얀마 접경지역 윈난성에서 대규모 군사 훈련에 나섰습니다. 장갑돌격부대에 차량 탑재 곡사포는 일제히 불을 뿜었고, 레이더 탐지를 하는 모습까지 담겼는데요. 중국이 미얀마와 국경을 맞댄 지역에서 신속 기동, 국경 봉쇄와 화력 타격 등 작전 능력을 확인한 이유는 미얀마의 복잡한 내부 사정과 관계있습니다.
현재 미얀마는 한 달 넘게 소수민족 무장단체 동맹이 군사 정권 타도를 목표로 총공세 중인데요. 반군이 세력을 강화하며 중국 국경과 맞닿은 지역까지 교전이 격화되고 있습니다. 남의 일인 줄 알았던 군사 갈등이 중국에도 불똥이 튄 것이죠.
게다가 중국이 과거 범죄조직 소탕을 위해 미얀마 반군의 무기를 지원했다는 사실도 드러났는데요. 중국은 그동안 미얀마 문제에 적극적으로 가담하진 않았습니다. 자국에 불똥이 튀자 적극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하며, 이 지역의 국제 정세 역시 요동치고 있습니다.
미얀마에서 쿠데타가 일어난 지 2년 이상이 지난 지금, 미얀마 군부는 전국적인 무장 투쟁과 시민군의 저항에 직면해 있다. 기반을 유지하고 보병을 모집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군부는 파괴적인 결과만을 가져오는 공중전으로 전략을 수정하고 있다. 그 배후에는 러시아가 있다. 러시아는 자국민을 상대로 전쟁을 하고 있는 미얀마 군에 첨단 전투기를 공급하고 조종사를 훈련하고 있다. BBC는 미얀마 군부에서 지난 18년간 조종사로 근무하다 망명한 자이 툰 아웅 전 미얀마 공군 대위를 만나 현 군부의 전략과 심리에 대한 통찰을 들었다. 또 지상과 공중에서 군부에 맞서 싸우는 사람들을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들었다.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BBC News 코리아: https://www.bbc.com/korean
아웅 산 수 치를 중심으로 수립된 미얀마 민주 정부가 군부 쿠데타로 무너진 지 오늘로 꼭 3년이 됐습니다. 민간인이 희생되는 비극은 계속되고 있지만, 국제사회에선 점점 잊혀 가고 있습니다. KBS가 최근 대대적인 반격에 나선 미얀마 반군 측 관계자와 화상 인터뷰를 했습니다. 정윤섭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군사독재의 뿌리를 뽑겠다"며 나선 대규모 반격. 미얀마 북부 소수민족 3곳, 이른바 '형제동맹'이 시작한 10.27작전 이후, 임시정부의 군대와 다른 소수민족들도 속속 합류하며 전선이 확대됐습니다. [소 토 니/카렌민족연합 외교 담당 : "'형제동맹'은 철저히 준비한 뒤 '10.27작전'을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우리의 투쟁에 중요한 마을 몇 곳을 되찾았습니다."] 미얀마 군부 정권은 북부와 서부의 주요 마을과 시설들을 빼앗기며 쿠데타 이후 가장 큰 위기에 직면하자 결국 중국에 손을 내밀었습니다. 지난 달 중국의 중재로 양측이 휴전에 합의했지만, 미얀마 군정은 다시 보복 공격에 나섰습니다. [소 토 니/카렌민족연합 외교 담당 : "협정이 (체결) 다음 날 오전 9시에 깨졌습니다. 우리의 투쟁 과정에 이런 일은 항상 일어납니다."] 미얀마 군부 쿠데타 3년, 그동안 시민들 저항이 이어지면서 군부의 탄압은 더 거세졌습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사망자만 4천 4백여 명, 2만여 명이 구금됐고, 260만 명이 삶의 터전을 잃고 떠났습니다. [소 토 니/카렌민족연합 외교 담당 : "미얀마 군부는 의도적으로 민간인을 공격합니다. 폭격을 퍼붓고 집을 태우고 민간인들을 죽입니다."] 여전히 국제 사회의 지원이 절실한 상황. 하지만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또 이스라엘과 하마스, 잇따른 대규모 전쟁에 미얀마 상황은 국제사회에서 점점 잊혀지고 있습니다. 그래도 이들은 군부 정권을 쫓아낼 때까지, 싸움을 멈추지 않겠다고 말합니다. [소 토 니/카렌민족연합 외교 담당 : "우리는 가까운 미래 언젠가 이 상황을 극복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시민들이 우리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방콕에서 KBS 뉴스 정윤섭입니다. 영상편집:황보현평/자료조사:이수아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
지난 1일은 미얀마 쿠데타가 발생한지 2년이 되는 날이었습니다. 2년이라는 시간동안 미얀마에서는 큰 사건,사고가 일어났는데요. 시위에 가담한 2900여명이 시민들이 사망했고, 1만 3천여명은 구금됐죠. 게다가 미얀마를 실질적으로 이끌고 있던 아웅 산 수치 국가고문은 징역 33년형을 받았고, 국가 경제는 급격히 무너졌는데요. 그렇다면 미얀마 쿠데타는 왜 일어난걸까요?
태국 방콕에서 북으로 500km 가량 떨어진 메솟 지역. 미얀마와 국경을 접하고 있어 난민들이 수시로 넘어옵니다. 메솟 시내에서 다시 2시간 가량을 더 달리면, 산속에 있는 UMPIEN 난민촌이 나옵니다. 얼기설기 지어진 허름한 집들, 이 가족은 군부정권을 피해 이 난민촌에 들어온 지 16년째가 됐습니다. 군부 쿠데타와 군사독재로 혼란스러운 고국을 떠나서 이곳에 왔지만, 난민촌 생활도 만만치 않습니다.
[인터뷰] 우 파사/ 60세/ 미얀마 난민 여기서는 바깥으로 나갈 수가 없습니다. 일을 할 수가 없지요. 모든 게 통제를 받으니 자유롭지가 않습니다. 그 사이 2년 전엔 또다시 쿠데타가 일어났습니다. 돌아갈 수도, 머무를 수도 없는 삶. 최소한의 인간적인 생활을 유지하기도 쉽지 않아 보입니다.
[인터뷰] 사피야피/ 40세/ 미얀마 난민 유엔에서 먹을 수 있는 음식, 구호품이 오기만을 기다립니다./ 이제 아이들만이라도 이 난민 캠프를 벗어나서 다른 나라로 가서 잘 살기를 바랄 뿐이에요. 가장 중요한 건 아이들입니다. 난민촌에서 나고 자라고 있는 네 명의 자녀들. 아이들은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
[인터뷰] 엠지엠지 (10세) 저는 여기서 나가고 싶어요. 난민촌 바깥 세상을 경험해보고 싶어요. (난민촌 바깥) 사람들은 다 자기 집에서 살고, 기본적인 물도 있고, 다 있겠죠. 과학자가 되고 싶다는 이 아이는 날마다 난민촌 바깥에서 살아가는 꿈을 꿉니다. 전 세계 미얀마 난민은 135만여 명입니다. 주로 인근 방글라데시와 말레이시아, 태국 등지에 흩어져 살고 있습니다. 태국에는 9만여 명이 있습니다.
밤낮을 가리지 않고 불법적으로 넘어오는 난민들을 막기 위해 국경 곳곳에서 군인들이 경계를 서고 있습니다. 하지만 밀려드는 난민들을 막기에는 역부족인 듯 보였습니다. 미얀마 내부에서 민주화 운동을 하다가 고국을 떠난 사람들은 태국 메솟 시내 곳곳에서 숨어 살고 있었습니다.
세 딸들 가운데 한 명이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면서 집안이 풍비박산 났다는 한 가족을 만났습니다.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둘째 딸이 미국에 숨어 활동을 계속하는 사이, 나머지 가족은 정부의 블랙리스트에 올랐습니다. 도망치는 것밖에 방법이 없었다고 합니다.
* 출간 도서 '삶이 허기질 때 나는 교양을 읽는다' 구매 링크 : https://bit.ly/3tnybpW 쿠데타 군부의 무차별 총격으로 많은 미얀마 사람들이 죽고 있습니다. 우리도 광주의 뼈아픈 경험이 있기에 요즘 미얀마 소식은 남일 같지가 않습니다. 하지만 단언컨대 군부를 이긴다고 해도 미얀마에 민주화가 오진 않습니다. 이 모든 것을 야기한 미얀마의 진짜 문제는 따로 있기 때문입니다. 미얀마의 내부 상황을 들여다보면 정말 머리가 어지러울 정도로 복잡하기 짝이 없습니다. 하지만 핵심은 딱 하나입니다. 이게 미얀마를 오랜 내전으로 내 몰았고, 이게 무소불위의 미얀마 군부를 만들었습니다. 이 문제의 해결 없이 미얀마의 민주화는 없습니다.
중국 공안부가 지난 14일 미얀마 북동부 소수민족 무장단체인 와주연합군으로부터 중국 국적 온라인 사기 용의자 2천349명을 넘겨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와주연합군은 20개 이상의 온라인 사기 범죄 집단 소굴을 급습해 2천680명을 검거했는데, 이 가운데 2천349명을 중국에 넘긴 겁니다.
미얀마에서 송환된 중국인 수로는 하루 기준으로 역대 최다 인원입니다. 와주연합군은 범행에 사용된 휴대전화와 컴퓨터 6천500여 대를 압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와주연합군은 지난달에도 온라인 사기 범죄에 가담한 중국인 1천200명을 검거해 중국 공안에 인계해 본국으로 돌려보냈습니다. 이에 따라 미얀마에서 송환된 온라인 사기 가담 중국인은 모두 4천666명으로 늘었습니다.
중국은 최근 수년 동안 미얀마 등 접경국에서 중국 내 자국인들을 상대로 한 온라인 사기가 기승을 부리자 현지 당국과 공조해 대대적인 단속에 나섰습니다. 이들 사기범은 대부분 중국인으로 많은 임금을 주겠다며 현지로 중국인들을 불러들인 뒤 감금하고, 온라인 사기 가담을 강요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말을 듣지 않을 경우 폭행 등 가혹 행위를 일삼거나 살해까지 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얀마, 태국,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는 전 세계 온라인 사기의 근거지로 지목됩니다. 중국 공안 당국은 미얀마와 태국 접경 지역에서 매일 10만 명 이상이 동원돼 온라인 사기 행각을 벌이는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영상편집 : 서지윤 / 제작: 디지털뉴스편집부) ☞더 자세한 정보 https://news.sbs.co.kr/y/?id=N1007385862
지난 10월말시작된군사작전은미얀마군사정권과미얀마전역에서벌어지고있는반군세력간의내전을역전시켰다. 지난해 12월온라인에공유된사진과동영상에는전국의군사기지를장악한저항군이탈취한상당무기은닉처가담겨있다. 이번나포는새로운반군부동맹과주요영토획득속에서이뤄졌다고분쟁전문가는전했다.
A military operation launched in late October has turned the tide in the ongoing civil war between the Myanmar military junta and allied opposition forces throughout the country. Photos and videos shared online during December show significant weapons caches seized by resistance fighters who have taken over military outposts around the country. The seizure comes amid new anti-junta alliances and major territorial gains, according to an expert on the conflict.
Operation 1027 began on October 27, 2023 and has since led to significant strategic gains for Myanmar’s anti-junta opposition.
The operation is conducted by the Three Brotherhood Alliance, made up of the Arakan Army, the Myanmar National Democratic Alliance Army and the Ta’ang National Liberation Army. These ethnic armed organisations (EAOs) make up just a small part of the anti-junta resistance in Myanmar, which has been in the throes of a civil war since a military coup overthrew its democratically elected government in February 2021.
Operation 1027 has brought new energy to the anti-coup movement as resistance fighters take over key military outposts and capture territory around the country. Images shared online show fighters posing victoriously with weapons, ammunition and heavy artillery.
Images shared on X show members of the Ta’ang National Liberation Army with weapons and ammunition captured from Myanmar military outposts in Namhsan, Shan State between December 10 and 15, 2023.
The official account of Myanmar’s opposition government in exile shared these images of the Ta’ang National Army with heavy artillery captured from military bases in Namhsan.
'그들은 버마족 군부를 기습하여 많은 영토를 차지할 수 있었다'
‘They were able to take them by surprise and take over a lot of territory’
The FRANCE 24 Observers team spoke to Erin Murphy, a senior fellow with the Asia program at the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and a Myanmar expert.
What's been happening in Myanmar in the last couple of months is that you've seen unprecedented cooperation among the ethnic armed groups. They combine forces to counter the Myanmar junta. They were able to take them by surprise and take over a lot of territory, junta outposts, take their equipment and their military materiel and really kind of breathe life into the anti-junta forces that have been in place since the coup.
And so you see these photos of large caches of weapons, whether it's semi-automatic weapons, rifles, pistols. They've taken over a lot of Myanmar military weaponry by taking over these outposts.
전초 기지, 국경 마을 및 경찰서 탈환 확보
Outposts, border towns and police stations
The three groups making up the Brotherhood Alliance operate primarily in Shan State, which borders China, and Rakhine State, on the western coast. The groups have carried out coordinated attacks, mostly in northern Myanmar.
The Arakan Army represents the Arakan ethnic group in Rakhine State, engaging in conflict with the Myanmar Armed Forces since 2009 for Arakan sovereignty. The Ta’ang National Liberation Army has been active in Shan State since the 1990s, primarily focusing on combating drug production and trade. The Myanmar National Democratic Alliance Army, rooted in Communist ideology, has opposed the Burmese government since 1989 and shifted focus to anti-junta resistance in 2021.
The Arakan Armydeclaredthat they have been able to capture 142 military bases – including camps, outposts, border posts and police stations – in Rakhine State since the operation began. The FRANCE 24 Observers team was unable to independently verify this information.
In total, the Brotherhood Alliance says it has seized more than422 bases and seven townssince October 27. The coalition has operated mainly in Shan state, capturing more than 100 military installations on the Chinese border and effectively cutting off40% of cross-border tradethrough important border crossings.
A video shared on X shows a stockpile of weapons captured from a military outpost near Muse, a northern border town with China in Shan State.
Murphy adds:
The Myanmar military is located throughout the country. So instead of being an outward-facing force, it's really internal. It has border guard forces. It has a light infantry division. It has brigades located all throughout the country. Some of them are small, some of them are quite large, and they're located in every state and region in the country.
Images shared on X show the Ta’ang National Liberation Army at a military base in Namhkam, Shan State, captured on December 18.
So some of these outposts that these EAOs have taken over are relatively small, but some of them are about medium-sized. What they're able to seize is pretty unprecedented and pretty impressive as well. But we also have to remember that the Myanmar military still is able to get much better equipment from the Chinese, from maybe the North Koreans, the Russians, and the Belarusians. But if these EAOs are seizing that equipment, then they might be able to have the same level of firepower.
무기 공급 및 품질 향상
Increasing weapons supply and quality
In addition to cutting off trade through border crossings, outpost attacks help the opposition movement seize military-grade weaponry and ammunition from junta caches.
Photos shared on X detail some of the artillery seized by the Ta’ang National Liberation Army in Shan State.
Armed organisations and militias have been known to import weapons from trafficking networks or manufacture their own, sometimes even3D printing them. However, these weapons fall behind in terms of quality.
"그것은 또한 군부에게 그들이 강하고, 영토를 장악하고, 무기를 빼앗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기도 합니다."
‘It's also meant to show the junta that they're weak, that they are taking over territory, that they're taking their weapons’
Operation 1027 has also encouraged other ethnic armed groups and militias – as well as the People’s Defense Forces (PDFs), the main military wing of Myanmar’s opposition government in exile – to ramp up their assaults on the military junta around the country. While weapons seizures are a significant tactical gain for the opposition, they also serve to boost the resistance movement’s morale and regain international attention.
Murphy explained:
These photos are certainly used for public relations, for morale, and I think to show the world what they are capable of doing. It certainly helps with morale and this has been going on since the coup in February 2021. And that the EAOs, the PDFs and the anti-junta forces – and that includes the civilians who are fighting through protests and not in hand-to-hand combat – they are wondering if the world forgot them.
Two groups allied with the Brotherhood Alliance captured a police station in Nyaung Pin Thar, in southern Myanmar, on December 13. Photos shared on X show the weapons they captured.
And Ukraine, Gaza have certainly taken the the air out of the focus on Myanmar. So these types of photos kind of help boost morale. And I think it's also meant to show the junta that they're weak, that they are taking over territory, that they're taking their weapons. I think it's meant to spook them as well.
The Irrawaddy, an opposition media outlet in Myanmar,reportsthat more than 650 junta soldiers have surrendered or defected since Operation 1027 began.
China has helpedfacilitate talksand a temporary ceasefire between the ruling military and anti-junta groups. Despite a ceasefire announced on December 14, resistance fighters continued toseize key territory.
There are certainly opportunities here, and it is become very interesting in Myanmar. But I think the one thing that we all should remember is that there are millions of people getting caught in the crossfire of this and that they are without food, without shelter. They're getting bombed by the junta trying to root out these EAOs and are getting caught in the crossfire. So we can't forget the humanitarian issues that are happening here. And that's unfortunately not unprecedented in Myanmar. But it is growing worse and worse by the day with this ongoing fighting and lack of pe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