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공의 한국과 인도와 메콩강 주변국가에 대한 횡포-중공은 어떻게 우리 역사 3천년을 빼앗아 갔는가? "이러다 우리 다 죽어"...중공이 메콩강 물 막아서 고통받는 동남아 사람들 / "중공의 댐 ..

2023. 5. 31. 11:57아시아 소식/아주소식

중공의 한국과 인도와 메콩강 주변국가에 대한 횡포

"중공은 어떻게 우리 역사 3천년을 빼앗아 갔는가? |

서길수 교수의 동북공정백서 이야기 1부"

https://youtube.com/watch?v=rwY6r4fEKto&feature=share9

 
 
Feb 16, 2022

 

 

서길수 교수의 동북공정백서 이야기 6부 | 진짜 공산주의자 주은래가 말한

“고구리, 발해는 조선의 역사다!”

https://youtu.be/_Aj63FSWPqY

 
Jul 7, 2022 
주은래 담화문 원본과 번역문을 보내드립니다. 주은래의 이 담화는 앞으로 동북공정에 대한 반론을 펴는데 아주 중요한 자료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댐을 건설 중인 중국

https://youtu.be/ULZtIKTiKjo

 
2022년 12월 9일 인도군과 중국군이 인도 동북부 국경에서 집단 몽둥이 난투극을 벌였습니다.
 
이 전투의 원인은 땅에 대한 영유권 갈등과 함께 중국이 2025년까지 건설할 계획인 새로운 슈퍼 댐 때문입니다.
 
남아시아를 위험에 빠트릴 수 있는 세계에서 가장 큰 댐을 만들 중국의 계획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이러다 우리 다 죽어"...중국이 메콩강 물 막아서 고통받는 동남아 사람들

https://youtu.be/dV0igIboAnQ

 
May 19, 2023 #메콩강 #크랩 #중국
 
‘동남아의 젖줄’이라고도 불리는 메콩강 티베트에서 시작해 중국과 미얀마 그리고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까지 4천㎞가 넘는 이 강은 수천만 동남아인들의 삶의 터전입니다. 그런데 이 메콩강 하류가 점점 메말라가고 있다고 해요? 이유가 뭔지 살펴보니 중국이 강 상류에 지은 댐 때문이라고 합니다 상류에서 물을 막아버리면 강 하류 사람들은 물이 부족할 수밖에 없는데… 중국의 댐 건설이 강 하류에 있는 동남아 국가들에 어떤 피해를 주고 있는지 크랩이 알아봅니다

 

 

 

사막처럼 말라가는 메콩강 (KBS_311회)

2023.05.27.방송

https://youtu.be/Jw11anT9Rmo

 
May 28, 2023 
 

♦︎ 인도차이나반도의 젖줄 메콩강이 말라가고 있습니다. 중국 칭하이성 티베트 고원지대에서 발원해 미얀마,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을 흐르는 메콩강은 풍부한 수량을 자랑하며 유역 국가들의 생명수와 같은 역할을 해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수량이 현격하게 줄어들면서 범람하던 강이 모래사막이 되고 있고 강에 의존해 살아가던 주민들의 생계도 위협하고 있습니다.

 

일단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이 주된 원인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중국에 10개, 라오스에 1개 등 강 상류에 건설된 11개의 댐들이 핵심적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동남아 국가들의 원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설상가상 중국은 댐 추가 건설 계획까지 세우고 있어 분쟁의 씨앗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중국의 댐 건설로 바닥 드러낸 메콩강…말라가는 인도차이나 [9시 뉴스] "

KBS 2023.05.08

https://youtu.be/jo7Thu05K3s

 
May 8, 2023 
 
아시아의 아마존 강으로 불리는 메콩강이 메말라가고 있습니다.
중국이 10개가 넘는 댐을 강 상류에 건설했기 때문인데요,
메콩강이 걸쳐있는 동남아시아 나라들의 생태계가 위기에 처했습니다.
김원장 특파원이 찾아가 봤습니다.
 
[리포트]
 
이곳은 원래 유명한 뱃놀이 유원지였습니다.
 
수위가 해마다 낮아지더니 거대한 모래 사막이 생겼습니다.
 
[마을 주민 : "이맘때는 중국이 물을 방류 안 해주니까, 물이 없어요."]
 
지역 상인들은 그나마 물줄기가 남아있는 곳을 찾아 원두막을 설치하고 피서객들을 받고 있습니다.
 
이 지역은 아예 강물이 말랐습니다. 거대한 강물이 사라지고, 이제 걸어서 태국에서 라오스로 건너갈 수 있습니다.
 
오래전에는 툭하면 강물이 범람하던 곳이었습니다.
 
아피난 아우타마/농카이시청 국장 : "어렸을 때는 농카이 전체가 범람하고 그랬어요, 여기 (둑 위로) 80cm 정도까지 차올랐어요."]
 
주민들은 해마다 토사를 파내서 어떻게든 강물을 취수장까지 연결하려고 하지만, 올해는 이마저 어려워 보입니다.
 
강물이 말라버려 기능을 잃은 취수장은 방치돼 있습니다. 주민들은 생활용수 부족은 물론, 농사짓기도 힘겨워졌습니다.
 
1996년부터 중국은 메콩강 상류에 모두 11개의 댐을 건설했습니다.
 
건기에 중국의 댐들이 방류를 줄이면서 메콩강은 더욱 말라갑니다.
 
[사닛 푸나/농카이시청 과장 : "중국 댐이 50cm만 더 방류를 해줘도 우리 취수장까지 물이 갈 수 있습니다."]
 
강폭이 좁아지면서 여기저기서 지반이 침하되고 강둑이 무너져 내립니다.
 
역사를 기록하기 전부터 메콩강은 인도차이나반도를 가로질러 곡식을 살찌우고 주변 6개 나라의 문명을 만들어 왔습니다.
 
그래서 강들의 어머니라 불린 메콩강은 하지만 지금은 서서히 말라 들어가고 있습니다.
 
4년 전에는 가까운 라오스에도 거대한 수력발전소가 들어섰습니다.
 
태국과 베트남, 캄보디아로 연결되는 메콩 생태계는 더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차이왓 파라쿤/메콩보이스(시민단체) 회원 : "(차야부리) 댐에 완공되고 갑자기 수위가 5~6m 내려가면서 물고기들이 천지에 죽어있었어요.
 
"[밤새 널어둔 그물엔 물고기 한 마리가 없습니다. 물고기가 줄면서 새들도 떠나고 어부들도 떠났습니다.
 
[숫따 임쌈란/어부 : "(물고기가) 이렇게 줄어든 건 올해가 처음이에요.
 
(다른 어부들은) 고무 채취를 하거나 양봉을 합니다."] 메콩 상류의 중국 댐들은 모두 470억 톤의 물을 가두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중국 정부는 추가로 8개의 댐을 메콩 유역에 건설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태국 논타부리에서 KBS 뉴스 김원장입니다.
 
영상편집:서삼현/그래픽:강민수/자료조사:이지은
 

https://youtu.be/nOgitBwon7w

 
Jul 21, 2022
중국과 동남아를 포함해 무려 여섯 나라에 걸쳐있는 메콩강! 한때 세계 최대의 곡창지대 중 하나였던 메콩강이 최근 바닥을 드러낼 정도로 말라버렸습니다.
 
흔한 이상 기후이야기가 아닙니다.
 
메콩강이 이렇게 처참해진 배경에는 첨예한 '외교 문제'가 깔려있습니다.
 
국제하천 메콩강을 둘러싼 국가 간 갈등 문제, 자세한 이야기는 영상을 통해 확인하세요.
 
✔ 뉴스에는 위아래가 없다,
 
스브스뉴스 - 스브스뉴스 링크
 

 

 

[여의도튜브] “中에 건설 맡겼는데…” ‘붕괴’ 재앙 덮친 나라 /

머니투데이방송

https://youtu.be/i9hhHHBeF34

Jan 27, 2023
 
 
 
2016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준공식에서 연설까지 한 에콰도르 수력발전소가 완공 후 채 10년도 안돼 붕괴 위기에 처했습니다. 중국 기업이 중국인 노동자와 중국산 철강을 써서 만든 발전소입니다.
 
지난 20일(현지시간)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의 글로벌 메가 프로젝트가 무너지고 있다”란 기사를 통해 에콰도르에서 발생한 수력발전소의 문제를 전했습니다.
 
아나운서: 우한나
영상콘텐츠: 김수진
기사콘텐츠: 백승기
기획: 강인형
총괄: 정미경
제작: MTN 머니투데이방송

 

 

[자막뉴스] 천정부지 가격에도 '사재기'...中, 심상찮은 움직임 / YTN

https://youtu.be/w9t-8wx3yEo

 
 
May 7, 2023
 
 
서울 종로 금 거래소.
 
금값 고공행진 소식에 옷장 속에 묵혀뒀던 금을 팔려는 발길이 이어집니다.
 
"다 해서 689만 원이에요." 배로 뛴 금값에 1돈짜리 돌 반지는 옛말이 됐고 종이처럼 얇은 0.5돈 순금 반지가 인기입니다.
 
금 현물 투자 수요도 늘었습니다.
 
금값이 오르기 시작한 3월 이후 주요 시중 은행에서 팔린 골드바는 70억 원어치로 판매량이 크게 늘었습니다.
 
[서민철 / 한국금거래소 이사 : 패물들, 금 거북이 다양한 것들이 지금 다 나오고 있습니다.
 
은행권에도 공급하고 있는데 은행권에서의 판매가 잘돼서 저희가 공급하는 것들이 역시 50% 이상 늘어나고 있다고….]
 
금값이 천정부지로 오른 건 경기침체 우려 속에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지난해부터 각국 중앙은행이 꾸준히 매입하며 국제 가격을 끌어올린 데 이어 올해는 인기가 더 뜨거워졌습니다.
 
특히 중국 인민은행이 빠르게 다량을 사들이고 있는데, 기축통화인 달러 의존도를 낮추려는 의도가 담겼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이에 비하면 우리나라 금 보유량은 세계에서 36번째로, 2013년 2월 매입이 마지막입니다.
 
미국과 갈등 관계에 있거나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큰 나라가 주로 매입하는 데 반해 수요가 크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이인철 / 참좋은경제연구소장 : (지금 사기에는) 이미 늦었고 금 매입 당시 고점 논란 이런 것들이 있어서 아마 쉽게 선택을 못 하는 것 같아요.
 
중국은 달러를 많이 처분하고 있잖아요.
 
(우리는) 달러를 매도하고 금을 비축하는 것이 동맹에 균열이 좀 갈 수도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아마 그런 역학적인 것도….]
 
무엇보다 쉽게 사고파는 유동성 측면에서도 금은 외환 보유 자산으로서 매력이 떨어진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YTN 김지선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305...

 

 
 

메콩강 상류 유역 댐 건설과 하류 가뭄 영향

메콩강 상류 유역 댐 건설과 하류 가뭄 영향.pdf
5.68MB

 

 

"베트남 - 중국 충돌 가능성 높아“베트남 미래 지도 바뀌나?!”

베트남 미래지도 바뀌려 하자한국 지도 바뀔가능성 높은 이유"

https://youtu.be/BThjo41USsM

🌏 베트남 영토 확장 가능성, 중국과 충돌 위험!
 
한국 미래에 미치는 영향 🇰🇷🇻🇳 베트남의 남월국 영토만큼 확장될 가능성이 있다는 이야기는 중국과 베트남의 지정학적 충돌 위험 때문입니다.
 
이는 한국의 고조선과 고구려의 옛 고토와 비슷한 상황을 연상케 합니다.
 
이 영상에서는 베트남의 영토 확장 시나리오와 그것이 한국의 미래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에 대해 알아봅니다.
 
 
 
 
 

中, 비밀리에 미얀마의 한 섬에군사기지 지어지자 난리난 상황

"한국 전투기 소환된 이유 "

https://youtu.be/yxdbJTPUh7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