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카친주 카친족의 인구 분포도 - 카친족 (징포족), 보도족, 가로족(티벹 -버마어족, 카마루판 어계, 카친(징포)-보도 어군) / 라오스의 소수 민족, 베트남의 소수 민족, 동남아 - 흐몽미엔 ..

2022. 9. 21. 11:45카친의 세계/카친의 사회

미얀마 카친주 카친족의 인구 분포도

 

카친족이 거주하는 카친주(Kachin State)는 미얀마 최 북쪽에 위치해 있으며 동쪽은 중국 서쪽은 인도 국경 그리고 북쪽은 히말리아 산맥 동쪽 끝자락 티베트 국경을 대하고 있다. 카친주는 카친족이 주 종족을 이루고 그 외 12개 소수민족 원주민과 버마족 중국인 인도인 그리고 무슬림 등 다민족이 어울려서 살고 있다. 카친주의 전체 인구는 150만 여명 정도 살고 있는데 그 중 120만 여명 정도가 카친족이다. 이들 카친족은 카친주 뿐만 아니라 미얀마 내 샨주 (Shan State)와 만달라이, 양곤에도 30만 여명 정도 거주하고 있다. 그리고 국경선 넘어 중국에 30만 명, 인도에 2만 명 또 태국, 싱가폴, 노르웨이, 미국, 일본 등 해외에 3만 여명 정도가 흩어져 살고 있다. 카친주 전체 면적은 우리 남한 땅 만하고 인구는 150만 명 살고 있다. 참고로 미얀마는 135개 종족에 전체 인구는 6000 만 명 이상 되고 버마족은 98% 불교도이며 전체 인구의 2/3를 차지하고 있다.

 

 

 

2014년 미얀마 정부 인구조사에 의하면 정부군이 점령한 카친주 주도 미찌나지역(Myitkyina Township)에는 318,978명이 거주하고 도심지(Downtown)는 최근의 내전으로 5년 전 6-7만 여명에서 오늘날은 유동인구를 포함해서 약 20만 여명 이상이 거주하고 있다. 그 외 파간(Hpakant) 331,965명, 빠모(Bhamo or Manmaw)136,229명, 푸타오(Putao)는61,100명, 모닌(Mohnyin)209,073명, 라이자(Laiza)등 Town 지역에 많이 거주하고 나머지는 카친주 전역 산지 Village와 중국 국경 쪽 북부 샨주에 산발적으로 거주하고 있다.

 

 

 

 

 

카친족 (징포족) / 보도족 / 가로족(티벹 -버마어족, 카마루판 어계, 카친(징포)-보도 어군)

                                                              뽈래기 2020. 8. 25. 14:3 수정 2017.5.05 14:20

 

언어-소수민족

 

카친-보도 어군 (Kachin-Bodo Language Group)

 

거주지역:

 

버마-인도-중국에 두루 걸쳐 분포 (독립국가는 형성하지 못하고 있지만 버마(미얀마)에는 자치주(State)를, 중국에서도 운남성云南省내 자치주自治州주를 형성하고 있다)

 

분류:  

티벹버마 어족, 카마루판 어계, 카친-보도 어군  

카친(징포) 계통, 콘약 계통, 보도-가로 계통으로 나뉜다

 

1)    카친족 계열

카친족 Kachin (미얀마 서부)

징포족 Jingpho (중국 서부) 

카도족 Kado

 

2)    콘약족 Konyak

 

3)    보도족 계열 (티벳의 종족명인 Bodic 과 Bodish와는 무관)   

보도족 (메치족)               Bodo (Boro) or Mech  (약 154만명) / 
트리퓨리족 (티페라족)     Tripuri or Tipera, 방언 Kokborok, Reang, Usoi (약 100만명)  / 
카차리족                         Kachari (약 10만명) / 
호자이족                         Hojai

 

4)    가로 계열:  

가로족                            Garo (약 90만명)  

메감족                            Megam 몬크메르계 언어인 카시어 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음 (약 7천명)

 

 

카친족 (Kachin) / 징포족 (景頗族 경파족) 

 

미얀마 카친주 위치

 

1.    명칭:       

미얀마 (버마) 에서는 카친주와 샨 주 북부 중국 국경선 지역 Shweli 지방에 거주하는 징포 Jinghpaw 족, 마루 Maru 혹은 Lawgore/lhaovo 라워 족, 라왕 Rawang 족, 라칱 Lachit 족, 자이와 Zaiwa 자이와 족 리수 Lisu 족의 6개 종족을 통틀어 일반적으로 카친족 (Kachin) 이라고 부름.

중국에서는 거주지역 및 방언에 따라 징포족 景?族 / 아시족 阿系族 / 마루족 馬魯族 / 랑어족 朗峨族 / 라시족 拉善族 / 라왕-눙족 農族 / 리쑤족 등 여러 집단으로 분류되는데, 이들을 통칭하여 공식적 소수민족으로 징포족이라고 부르며, 사용하는 언어를 징포어 (景頗語 경파어) 라고 함.

인도 국경을 넘어서 거주하는 카친족은 싱포 Singpho 족이라 함.

 

2.   거주지 및 인구:      

 

미얀마 북서부의 카친주 전체, 북부 샨주, 양곤과 만달래 / 중국 윈난성雲南省의 더홍 징포족 자치주 / 인도 북동부의 아쌈 주,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및 나갈란드 주에 거주함.    

 

미얀마에 약 150만 명으로 가장 많이 살지만, 그밖에도 중국에 약 9만 3,000명, 인도에 약 2만 명이 살고 있다. 그리고 미국, 호주, 뉴질랜드, 일본,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영국, 스웨덴, 노르웨이 등 해외에도 거주함. 전체인구는 약 200만 명 미만이다. 

3.   언어:    

티베트버마어군에 속하는 다양한 말을 사용하기 때문에, 징포족景頗族 / 아시족阿系族 / 마루족馬魯族 / 랑어족朗峨族 / 나시족拉善族 / 눙족農族 / 리쑤족 등 여러 집단으로 분류된다.  

 

중국에서는 이들 소수민족들의 방언을 공식적으로 징포어 景頗語 라고 통칭하고. 미얀마에서는 카친어라고 부르고 인도에서는 싱포어라고 부른다.    

 

4.   인종:     

 

몽골-티벹계통이라고 하는데, 이 종족들 중 징포-가오리 씨족은 유달리 고구려 시조 주몽을 조상으로 모시는 고구려의 후손이라고 주장한다. 

 

5.   종교 및 풍속:

 

미얀마의 카친주에 거주하는 카친족은 인구밀도가 낮은 산악지대에서 살지만, 카친족의 영토에는 다른 부족들이 사는 좁고 비옥한 계곡도 포함된다.
그런 계곡 사람들은 불교를 믿는 반면 카친족의 전통종교는 동물을 제물로 바치는 애니미즘적인 조상숭배의 측면이 강하다.  그러나 이들의 약 10%는 그리스도교로 개종했다. 

 

전통적인 카친족 사회는 주로 벼의 이동농경을 통해 유지되었으나, 약탈과 전투에서 얻는 수익에도 의존했다.
추장은 대부분 세력이 약했기 때문에 부계 친족과 인척의 도움을 받아 부족을 다스렸다. (부계사회, 말자상속) 

 

6.   역사:     

 

1885~1947년 영국의 통치하에서는 이들의 영토 대부분이 변경지방으로 특별히 관리되었으나, 미얀마가 독립한 뒤에는 준자치지역이 되었다.

 

1947년 2월 12일에 아웅산의 버마 정부는 샨족, 카친족, 친족과 판롱 회의를 가졌다.   협정은 '변경 지역의 내부 행정의 완전한 자치'에 원칙적으로 동의하였고 제헌 의회에 의해 카친주 창설이 계획되었다.  

 

카친주는 1948년에 영국령 버마로부터 독립한 후에 바모군, 미치나군, 푸타오군을 합쳐서 형성되었다.   광대한 산지 지역은 카친족이 우세했지만 철도 주변과 남부 계곡은 샨족과 버마족이 다수였다.  북쪽의 경계는 중국 정부가 18세기 이래로 카친주의 북쪽 절반을 중국의 영토라고 주장해 1960년대까지 경계가 확정되지 않았다.

 

군사적으로 카친 독립군(KIA)은 예전에는 버마군의 중요한 일부를 구성하였다.  1962년에 네윈의 집권으로 버마 연방이 폐기되면서 카친군은 철수해 카친독립기구(KIO)하의 카친독립군(KIA)을 형성했다.  주요 마을과 철도 주변을 제외하고, 1960년대 중반부터 1994년까지 카친주는 사실상 독립되어 있었다.  경제의 기반은 중국과의 밀무역, 경옥 교역과 마약이었다.

 

1994년에 미얀마 버마족 정부군이 KIO로부터 경옥 광산을 일부를 빼앗은 후에 평화 조약이 서명되어, 미얀마 군부의 지도하에 KIO는 계속해서 자치주의 대부분을 실질적으로 통치하는 것을 허락받아 정전하였다.  정전은 즉각적으로 KIO와 KIA로부터 평화 협정에 반대하는 수많은 당파가 떨어져 나가는 계기가 되었고, 지금도 여전히 정치적으로 극히 불안정한 상태이다.

 

7.    카친주(Kachin State)
위치: 미얀마 최북단의 주이다.  북쪽과 동쪽으로 중국과 접하고 남쪽은 샨 주, 서쪽은 사가잉 구, 인도와 접한다. 주도는 미찌나이다. 다른 중요한 도시로 바모가 있다.  카친 주에는 미얀마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히말라야 산맥의 동남쪽 끝을 구성하는 카카보라지(5,889m)와 가장 큰 호수인 인도지(Indogyi) 호가 있다.

 

인구: 카친주의 120만 명의 주민 대다수는 카친족(징포족)이다. 카친주에는 또한 버마족과 샨족도 살고 있다. 또한 약간의 티베트족, 네팔, 인도, 중국 사람들도 살고 있다.  공식적인 정부 통계에 따르면 57.8%가 불교도, 36.4%가 기독교도인데 대부분 침례교도 인데, 2011년 이후 17년간의 정전은 파기되고 다시 내전(전쟁)이 시작되어 지금은 기독교인이 80%이상이다. 현재 카친어는 주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주종 언어로서 관공서와 시장등 상가에서는 미얀마 공용어인 버마어를 사용하지만 카친족 모든 가정과 사적인 카친족 모임(교회등)에서는 카친어(징포어)를 사용한다.

 


경제: 카친 주의 경제는 농업을 기반으로 한다. 주요 작물은 쌀, 사탕수수이다. 광물로는 금, 인, 희토류, 비취옥등 수많은 광물이 생산된다.

 


8.    미얀마 버마족-카친족 독립전쟁 난민 수만명 

 

중국 정부가 미얀마로부터 독립을 요구하고 있는 미얀마 북부 소수민족인 카친족 난민 가운데 최소한 1천 명을 미얀마 북부 산림 지대로 강제 추방하고 또 다시 4천명을 추방할 계획이라고 인권단체가 24일 밝혔다. 미국의 휴먼라이츠워치는 24일 중국 정부에 대해 미얀마로 카친 난민을 추방하지 말도록 촉구하고 그들에게 미얀마의 북부 국경에 위치한 운남성에 임시 피난처를 제공해 주도록 요구하고 있다.  지난 6월 미얀마 정부군이 카친족 군사 기지를 폐쇄하려고 하면서 불붙은 전투로 인해 17년 동안 유지돼 왔던 휴전이 와해되고 약 7만 5000명이 난민이 발생했다. 이들 난민들은 중국 정부는 운남성에 7천명에서 1만명의 카친족 난민을 수용하면서 보호를 해주지 않고을 뿐 아니라 유엔이나 인권단체의 방문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2012년 08월 24일, 베이징=AP/KNS뉴스통신).  2017년 현재 난민 15만명 이상.


 *아래 Download click 하면 더 자세하게 볼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MIMU001_A3_SD & Township Overview.pdf
0.99MB

버마(미얀마) 전체 행정구역 지도와 지역명

보도족 (메치족)

 

1.   명칭
보도 Bodo (인도 아삼지역)
메치 Mech (벵갈 지역)
Boro = Bodo Language or Bodo Society

 

2.   거주지 및 인구
아쌈과 서벵갈의 히말라야 산맥 부근 지역에 수백년 전에 정착하였다.
중국의 북부에서 남서지역으로 이주해왔으며, 다시 버마와 인도네시아로 이주했지만, 일부는 인도에 남음.
약 154만명 (2007)

 

3.   언어
티벳머마 어족, 바릭 (Baric) 어계, 보도-가로 어군, 보도어
Bodo Language = Boro,  보도어(초테어)  
아삼주 공용어 중의 하나

 

4.   인종
몽골 인종

 

5.   종교:
전통종교 93.5%  

 

6.   역사

2008년 인도 동북부 아삼주에서 토착민인 보도족과 이슬람교 방글라데시 이민자들의 충돌로 사망 35명 100여명 부상.

 

 

트리퓨리족 (티페라족):

 

1.   명칭
Triruri, Tipra or Tipperah
언어는 Kokborok, borok 또는 Tripri 라고 함.  
 

 

2.   거주지 및 인구
벵갈, 아삼 그리고 북부 미얀마 지역까지 분포하며, 과거 이 모든 지역을 지배했다.
현재는 주로 인도 동북부지역에 위치한 티푸라평원에 거주하고 있다.
인구는 약 100만명 (2008) 

 

3.   언어
티벳버마 어계, 바릭 (Baric) 어계, 보도-가로 어군, 트리푸리 어 (콕보록)
콕 보록이라는 문맥상의미는 사람들의 언어라는 뜻으로 티페라족의 모국어
주로 학교에서 사용되어지는 언어이다.
뎁바르마 (콕보록), 리앙, 하람(유소이)이라고 하는 3개의 지역방언을 갖고 있다.

 

4.   인종

몽골 계통

 

5.   종교:
전통종교 92%

 

6.   역사
1980년대 후반 자신들의 언어와 문화, 생활터전을 지킨다는 명목으로 자체 정치, 군사조직을 만들어 외부세력에 맞서왔다.  

 

카차리족

 

1.   명칭
Kachari (or Cachari)

 

2.   거주지 및 인구
인도 아삼 주에 분포
약 6만명 (1997)

 

3.   언어:  
티벳버마 어계, 바릭 (Baric) 어계, 보도-가로 어군, 카차리어
주로 아삼어를 사용하고 약 30%만 카차리어를사용

 

 

가로족

 

1.   명칭

 

Garo
Mande (자칭)

 

2.   거주지 및 인구

 

메갈라야주 Garo Hill을 중심으로 아삼 주 서부등 인도 동북 산악 지역과 방글라데쉬 국경 일대에 분포 
약 90만명 (2007년)

 

3.   언어: 

티벳미얀마 어계, 바릭 (Baric) 어계, 보도-가로 어군, 가로어

 

4.   인종
몽골계통
키가 작은 단신 종족입니다. 

 

5.   종교
애니미즘이 성하여 창조자의 관념이나 나무의 조상상(祖上像)을 숭배하며 영혼이 육체로 되돌아온다고 믿음. 
원숭이를 신성한 동물로 여겨 공동체의 희생물로 제단에 올리는 제사를 행함. 

 

6.   역사
티베트 ·부탄 등에서 이동하여 온 것으로 보여짐.
메갈라야 주에 거주하는 다수파 오스트로아시아어족-몬크메르 어군의 카시족과 갈등

 

7.   생활방식
산악 화전민, 벼와 목화 등을 화전경작
한때 사람의 머리 사냥이 성행하여 이들이 살고 있는 메갈라야, 아쌈 일대에서 큰 공포의 대상이 되기도 함. 
모계 중심 사회, 모계 쪽으로는 결혼을 할 수 없음, 
장인이 죽으면 장모를 아내로 맞아들여서 그 가계의 대를 잊는 풍습으로 종족을 보존.  

 

 

 

 

 

 

 

 

 

인도-언어-1893

 

인도-행정구역도 

'언어-소수민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남아 - 참족 (짬족, 참파족)  (0)티베트족 / 시킴족 / 종카족 / 라다크족 / 몬파족 (티베트-버마 어족, 티벹-히말라야 어군)  (0)카친족 / 징포족 / 보도족 / 가로족 (티벹버마 어족, 카마루판 어계, 카친-보도 어군)  (0)쿠키족 / 친족 / 미조족 / 나가족 (티벹버마 어족, 카마루판 어계, 쿠키-친 어군)  (0)인도 남부: 드라비다 계통의 민족  (0)인도 동부: 문다 계통의 민족들  (0)



출처: http://js-maal.tistory.com/category [정수언어]

 

  1. 2013.06.17 라오스의 소수 민족
  2. 2013.06.16 베트남의 소수 민족
  3. 2013.06.09 동남아 - 흐몽미엔 어족 (미야오야오 어족)
  4. 2013.06.09 동남아 - 참족 (짬족, 참파족)
  5. 2013.02.03 타밀어와 한국어 비교
  6. 2013.01.06 중국 소수민족의 언어 분류
  7. 2013.01.06 한옥- 반값 한옥
  8. 2013.01.01 한국산 한자어
  9. 2013.01.01 티베트족 / 시킴족 / 종카족 / 라다크족 / 몬파족 (티베트-버마 어족, 티벹-히말라야 어군)
  10. 2013.01.01 카친족 / 징포족 / 보도족 / 가로족 (티벹버마 어족, 카마루판 어계, 카친-보도 어군)
  11. 2013.01.01 쿠키족 / 친족 / 미조족 / 나가족 (티버마 어족, 카마루판 어계, 쿠키-친 어군)
  12. 2012.10.16 인도 남부: 드라비다 계통의 민족
  13. 2012.10.16 인도 동부: 문다 계통의 민족들

 

2013.06.17 00:19

라오스의 소수 민족

언어-소수민족

라오스의 소수 민족

 

라오스 정부 내에서 소수민족 문제를 담당하고 있는 라오국가건설전선(Lao Front for National Construct: LFNC)이

공식적으로 인정한 소수민족은 49개이지만, 하위 민족은 160개 이상이며 일부 학자들은 820~850개 이상의 소수민족이 살고 있는 것으로 추정.

라오스는 험준한 산이 많아 지역 간 교류 없이 부족끼리 자급자족하며 살아가는 경우가 많다.
또한 메콩 강이 라오스 전역에 흐르고 있어 물과 식량을 얻을 수 있는 강변을 거점으로 생존하는 데 어려움이 없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라오스의 소수민족은 외부와의 접촉 없이도 수백 년간 명맥을 유지할 수 있었다.

 

라오스의 소수민족에 대한 구분

크게 3개의 민족으로 구분한다.

 

1. 라오룸(Lao Loum)

저지대에 사는 라오인

주로 라오-타이(Lao-Tai)계 언어 사용. 라텐족 Lanten 은 몽-미엔계 언어를 사용하는 미엔족의 일파로 여겨짐.

중국 동남부 윈난 성 지방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타이족에서 파생된 민족.
대개 불교를 신봉하고 있으며, 도시 및 평야 지역에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부유하다.

 

2. 라오퉁(Lao Theung)

고지대(해발 300~900m)에 사는 라오인 (강 상류 고지대에서 거주하지만 해발 1,000m 이상에서는 잘 살지 않음).
주로 몽-크메르(Mon-Khmer)계 언어 사용, 라오스에서 가장 인구 비중이 큰 소수민족이다.

주로 북부와 남부 산악 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대부분 애니미즘을 신봉.
까무(Khmu)족은 라오퉁의 가장 대표적인 종족이며, 북부 지방 및 남부의 고원지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주요 재배 작물은 쌀?옥수수?면화?담배?바나나 등 (대부분 화전)
라오스의 하층민을 구성

 

3. 라오쑹(Lao Soung)

산악지대(해발 1,000m 이상)에 사는 라오인

대부분 북동부 지역에 거주

지난 200년 동안 중국에서 이주해 온 종족이다. 그들을 중국 민족으로 보기도 한다
주요 부족으로는 몽족, 아카(Akha)족, 야오(Yao)족이 있다.
언어는 중국어나 티베트-버마어족과 유사하며, 외모는 라오룸보다는 몽골인과 더 비슷하다.
씨엥쾅, 후아판, 루앙프라방, 싸야부리(Xayabury) 지방에는 라오쑹이 비교적 큰 규모로 거주하고 있다.
라오쑹은 쌀과 옥수수를 주식으로 하며 화전(火田)을 통해 곡식을 수확한다.


언어에 따른 인구 분포

 

1. 라오-타이계 (66.2%):

라오족, 푸타족, 타이족, 루족, 그누안족, 융족, 색족, 타이느아족

 

2. 몽-크메르계 (23%):

까무족, 쁘라이족, 싱무족, 콤족, 틴족, 이두족, 빗족, 라멧족, 삼따오족, 까땅족, 마꽁족, 뜨리족, 뜨리엥족, 따오이족, 예족, 브라오족, 바락족, 까뚜족, 오이족, 끄리엥족, 이루족, 수아이족, 그나흔족, 라비족, 깝깨족, 크메르족, 뚬족, 응우엔족, 므앙족, 끄리족,

 

3. 흐몽-미엔계 (7.4%):

흐몽족, 미엔족

 

4. 시노-티베트계 (2.7%):

아카족, 싱가사리족, 라후족, 실라족, 하이족, 롤로족, 호족 

 

 

2013.06.16 20:56

베트남의 소수 민족

언어-소수민족

베트남의 소수 민족 

 

1.   남아 어족 (AustroAsiatic Language Family) 베트남 어군

2.   남아 어족 (AustroAsiatic Language Family) 몬-크메르 어군

3.   남도 어족 (Austronesian Language Family) 참 어군

4.   흐몽미엔 어족 (Hmong-Mien Language Family or  Myao-Yao Language Family)

5.   타이까다이 어족

6.   중국 어족

7.   티벳버마 어족 등으로 나눌 수 있다. 

 

 

1.   남아 어족 / 베트남 어군

 

비엣(Viet), 므엉(Muong), 토(Tho), 쯧(Chut)등 4개 민족임.

비엣족은 전체 인구의  87% 정도를 차지하는 최대 종족.

비엣족은 언어는 중국의 문화의 영향을 매우 많이 받은 몬-크메르 계통의 언어 사용. 

므옹족, 토족, 쯧족 등은 중국문화의 영향을 덜 받음. 


01     비엩 / (전체인구의 87%)

03     므엉 / 914,500
20     토 / 51,200
43     쯧 / 2,400

 

 

2.   남아 어족/ 몬크메르 어군

 

 

크메르어는 이웃 나라인 캄보디아의 국어 

크메르어 (Kmer), 팔라웅어 계통 (Palaung), 커무어 계통 (Kmu) , 꺼뚜어 계통, 바나르어 계통 (Banar) 등이 있음. 

 

크메르 계통

05     크메르 / 895,200

 

 

팔라웅 계통

44     망  (mang) / 2,200

 

 

크무 계통

22     커무 (KhoMu, Khmu) / 42,800     (크무 Khmu, 까무) (라오스에 약54만명 거주 Khmu)
32     씬문 (XinhMun) /10,700
53     어두 (ODu) / 194
38     캉 (Khang)   / 3,800

 

 

꺼뚜 계통
24     꺼뚜 (CoTu) / 39,900
27     따오이 (TaOi) / 26,000
23     브루반끼우 (Bru Van Kieu) / 40,100


바나르 계통

11     바나 (Bana)  / 136,800
16     흐레 (HRe) / 94,200
14     써당 (Xo Dang) / 96,700
26     재찌엥 (GieTrieng) / 26,900
29     꼬 (Co)   / 22,600
51     러맘 (Ro Man) / 280
52     브라우 (Brau) / 230
17     꺼호 (CoHo)  / 92,100
19     므농 (Mnong) / 67,300
28     마 (Ma)  / 25,400
21     스띠엥 (Xtieng) / 50,100
30     쩌로 (ChoRo)  / 15,000

 

 

3.   남도 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 어군

 

 

모두 말레이-폴리네시아 어족 참 어군에 속함

 

중세에 참파 왕국을 이루어 베트남 중남부에서 번성하였으나 비엣족에 멸망 당함. 

멸망 당한 참파 왕국의 지배층 들은 대거 캄보디아 지역으로 이주함. 

 

13     짬 (Cham)  / 98,900     (참어, 참파어)
09     자라이 (GiaRai) / 242,000
33     쭈루 (ChuRu)/ 10,000
18     라글라이 (Raglai) / 71,600
10     에데 (EDe)  / 194,700

 

4.   흐몽미엔 어족

 

흐몽 (미야오, 몽, 묘) 어군과 미엔 (야오, 요)  어군으로 나눌 수 있다

중국에 약 738 만명 (2011년-몽족) , 베트남에 약 100만명 (2006년), 라오스에 약 46만명 거주   

라오스의 몽족은 베트남 전쟁 당시 독립을 약속 받고 미국을 도와 대거 참전.  미국이 패하여 철수하자, 공산화된 라오스에서 대량 학살 당함.   

중국의 미야오족과 야오족은 19세기 태평천국의 난에 참가하였으나, 패배 후 박해 당함. 

고구려 유민의 후예설이 있으며, 치우를 조상으로 숭배함.  


07     흐몽  (Hmong, Mong, Myao, Meo) /  558,000    

08     자오 (Dao, Yao, Mien)  / 473,900     
40     빠탠 (Pa Hen) / 3,600

 

 

5.   타이까다이 어족

 

타이족의 언어와 라오족의 언어는 각각 이웃나라인 태국과 라오스에서 국어로 사용됨.

태국어와 라오스어는 서로 의사 소통이 가능한 방언 수준의 차이를 보임. 

 

타이계

01     따이 (Tay) / 1,190,000
02     타이 (Thai) / 1,040,000
06     눙 (Nung) / 705,700
12     까올란 / 114,000
34     라오 (Lao) / 9,600
39     르 (Lu) / 3,600
25     저이 (Giay) / 37,900
45     보이 (BoY) / 1,400

까다이 어계

46     라하 (LaHa) / 1,400
35     라찌 (LaChi) / 7,800
50     뿌빼오 (PuPeo) / 380
42     껄라오 (CoLao) / 1,400


6.   중국어 계통

 

중국어 계통의 언어 사용자는 베트남 북동부 국경 지역에 주로 거주 

 

04     화 (Hoa) / 900,100
15     산지우 (San Diu) / 94,900
48     응아이(Ngai) / 1,100

7.   티벹-버마어 계통

 

주로 16~18세기에 중국 지역에서 이주한 것으로 보여짐 

 

31     하니 (Ha Nhi) / 12,400
36     풀라 (PhuLa) / 6,500
37     라후 (LaHu) / 5,300
41     롤로 (LoLo) / 3,100 

47     꽁 (Cong)  / 1200 
49     실라 (SiLa)  /  590

 

 

2013.06.09 12:09

동남아 - 몽미엔 어족 (미야오야오 어족)

언어-소수민족

몽미엔 어족 (미야오야오 어족)

 

명칭

 

미야오족 (몽족, 몽족, 묘족) /  야오족 (미엔족, 자오족, 요족)

(약1600~1700년대에 중국 서남부에서 동남아시아로 이주한 중국의 먀오족과 야오족이 흐몽족과 미엔족임)

 

중국 -     미야오족 (Miao 苗 묘) 및 야오족 (Yao 瑤 요)

베트남 -  몽족 (Hmong) 및 미엔족 (Mien, Dao, Yao, 빠탠족)

라오스 -  몽족 (Mong) 및 야오족 (Yao)

태국 -     미엔족 (Mien)

 

언어

 

몽-미엔 어족 또는 미야오-야오 어족

 

인구 및 거주지

 

중국 -   남서부 귀저우성을 중심으로 약 800 만명의 미야오족 및 약 200 만명의 야오족이 거주  

베트남 -   북부에 약 120 만명의 몽족, 자오족, 빠탠족 등이 거주

라오스 -   북동부 산간 지역에 약 46 만명의 몽족 및 서부 저지대에 라텐족 (Lanten) 등이 일부 거주

태국 -   약 6만의 야오족 (자칭 미엔족 Mien) 거주

 

먀오-야오 어족 분포도 (빨간색=먀오족, 자주색=야오족)

 

 

역사

 

고구려 유민의 후예설이 있음. 

동이족의 조상인 치우를 조상으로 숭배함. 

중국에서 19세기 태평천국의 난에 대거 참여하였으나, 패배 후 탄압 받음. 

라오스의 몽족은 1970년대 독립을 약속 받고 베트남전에 참전. 패배 후 공산화된 라오스에서 탄압 받음. 

 

중국의 미야오족 및 야오족

 

중국 전역에 2000년 기준 미야오족이 약 900 만명 야오족이 약 200 만명 거주

(중국 소수민족 중 좡족, 만주족, 후이족에 이어 4번째로 인구가 많음)

 

베트남의 흐몽족 및 미엔족

 

약1600~1700년대에 중국 서남부에서 동남아시아로 이주

몽족 Hmong       - 약 56만명 (2006년 조사시에는 약 100만명)

자오족 Dao (Yao)  - 약 48만명 

빠탠 3,600            -  약 4000명    

 

라오스의 몽족 및 미엔족

 

약1600~1700년대에 중국 서남부에서 동남아시아로 이주.   대부분 북동부 산악 지역에 거주.  

언어는 중국어나 티베트-버마어족과 유사, 외모는 타이계통의 저지대 라오인 보다는 몽골인과 더 비슷.
쌀과 옥수수를 주식으로 하며 화전(火田)을 통해 곡식을 수확한다.
고산지대에 거주하는 만큼 독자적으로 살아가는 데 익숙하며 자급자족의 경제구조를 이어오고 있다.

몽족은 미국의 지원 아래 과거 베트남과 전쟁을 벌였으며, 1만 명 이상이 전쟁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1975년 라오스에 사회주의 정권 수립 후 인구의 약 8%에 해당하는 30만 명 이상이 미국과 타이로 망명했는데,
그 대부분이 몽족으로 현재까지 타이에는 그 난민캠프가 존재하고 있다.
내전 당시 몽족군을 이끌었던 방파오(Vang Pao) 장군은 최근까지 미국에 체류하면서 반(反)정부 활동을 벌여왔다.

최근 타이 난민촌에 거주하던 몽족의 라오스 귀환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

저지대 주민과 달리 몽족은 대나무 위가 아닌 땅 위에 집을 짓는다.
대가족이 모두 한집에서 생활하며 각 가족은 연장자 남성이 이끄는 씨족 생활을 한다.
조상신, 정령의 세계와 의사소통하는 것이 족장의 주요 임무다.

 

라오국가건설전선은 2005년 인구조사를 통해 라오-타이가 라오스 총인구의 66.2%,
몽-크메르가 23%, 흐몽-미엔이 7.4%, 시노-티베트가 2.7%를 차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태국의 몽족 및 미엔족

 

 

약1600~1700년대에 중국 서남부에서 동남아시아로 이주

약 6만의 야오족 (자칭 미엔족 Mien) 거주

베트남 전쟁 시 미국을 지원했던 많은 라오스의 몽족이 태국으로 이주하여 난민촌에서 거주

 

동남아 - 참족 (짬족, 참파족)

언어-소수민족

참족 (짬족, 참파족, Cham)

 

명칭

 

참족 Chamic People, 짬족

넓게는 참어군의 하로이족, 라데족, 자라이족, 츠루족, 로글라이족 등을 포함

 

언어

 

남도 어족 Austronesian language family 말레이폴리네시아 어계 Maley-Polinesian 아체참 어군 Aceh-Chamic subgroup

(Austronesia는 남쪽을 뜻하는 라틴어 auster와 섬을 뜻하는 희랍어 nesos의 합성어)

 

인도 산스크리트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은 말레이-폴리네시아어 계통의 언어 
참족은 인도네시아 서부 수마트라섬 북부의 아체어와 같은 계열의 언어 사용 (아체-참 어군 Aceh-Chamic) 

오랜 접촉으로 말레이-폴리네시아계 참어 Chamic Language와  몬-크메르계 바나르어 Bahnaric Language는 많은 어휘를 공유   

 

아체참 어군 언어 분류

 

1.   아체족 (Acehnese)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북부 약350만명 (2000)

 

2.   저지 참족계열  

참족 (Cham)          - 캄보디아 및 베트남 거주 약40만명 (2006) 

하로이족 (Haroi)     - 베트남 거주 약3.5만명 (1998)   

 

3.   고지 참족계열   

라데족 (에데) Rade (E-đe)      - 베트남 거주 약 27만명 (1999년)

자라이족 Jarai (Gia Rai)          - 베트남 및 캄보디아에 거주 약34만명 (1999년)

 

4.   북부 참족계열 (Chru-Northern)  

츠루 (쭈루) Chru (Chu Ru)                                - 베트남 거주 약 1.5만명 (1999)
라글라이 (로글라이) Roglai (Ra Glai)                  - 베트남 거주 3만명 (1997)
Tsat (Utsat, Utset, Huihui, Hui, or Hainan Cham)  - 중국 하이남섬 거주 약 5000명

 

인구

 

캄보디아 내에 있는 참족의 인구수는 누구에게 묻느냐에 따라 달라지는데
캄보디아에 있는 짬족은 자신의 인구가 백만은 넘는다고 주장하고 있고
1987년에 행해진 인구 센서스에는 이십오만으로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마을 숫자에 비례해서 중간 크기의 마을을 합산해 보면 족히 오십만명을 넘을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짬족 사역을 하는 사역자들은 짬족의 인구를 오십만명에서 칠십만명 사이로 보고 있다.

 

베트남에 있는 참족은 약10만 (1999년 인구조사),
같은 참족 계열의 하로이족, 라데족, 자라이족, 츠루족, 로글라이족 등을 합치면 공식적으로만 약70만명
베트남에서 참족이 가장 많은 지역은 닌투언(Ninh Thuan)省과 빈투언(Binh Thuan)省

 

라오스 약?만

 

인종

 

폴리네이아 어족과 인도 어족의 혼혈로 여겨짐
고대 참족은 인종적으로는 아리안 인종으로 보는 학설이 유력하다.

 

문자

 

인도 언어들에서 사용되는 데바나가리(Devanagari) 자모를 사용

 

종교

 

캄보디아의 참족은 이슬람교를 신봉 
참파 왕국의 왕족 및 지배층이 베트남과 전쟁을 하면서 지원국인 자바 왕국의 이슬람교로 패망 전에 개종.     

참파 왕국 패망 후, 이슬람교를 믿는 대부분의 왕족 및 지배층이 캄보디아로 이주.     

캄보디아 전역에 약 444개의 모스크가 있으며 캄보디아의 행정 구역과 유사하게 커뮤니티가 형성되어
이맘이라는 종교 지도자를 중심으로 23개의 단위로 조직이 되어져 그들만의 정체성을 이어오고 있다.

최근 부루나이의 후원으로 이슬람 고아원을 운영하면서 이슬람 근본주의를 교육시키고 있음.  

 

베트남의 참족은 대부분 전통적인 힌두교 및 기타 종교를 신봉 

 

 

역사

 

Cham족은 원래 Malayo-polynesian 계로 기원전 190년 인도네시아계에 의해 시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2세기경 베트남으로 건너와 후에 (Hue)를 중심으로 붕따우 (Vung Tau)와 팡랑 (Phan Lang) 지역에 걸쳐 해상왕국을 건설.    

고대 산스크리트 문화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후 안남(지금의 베트남) 중부지방을 정복하고 그곳에 거주.

초기에는 주로 해적으로부터 중요한 자원을 확보하는 소극성을 보이다 전성기 때에 이르러서는 당시 동남아의 맹주였던 크메르 앙코르 왕국을 침략하며 크메르와의 뺏고 빼앗는 전쟁의 역사를 시작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 짬파 왕국이 크메르 왕국을 점령 통치한 기간은 4년인데 비해, 크메르 왕국이 짬파 왕국을 다스린 시기는 37년에 달한다.

 

베트남의 중남부 지방에 "참파"(Champa)라고 불리는 강력한 제국을 형성 (7th to 18th centuries).

서기 1471년 베트남인들의 침입으로 수도가 함락 당하면서 약 250만명의 참족들이 베트남의 대량학살을 피해 인도차이나 여러 지역으로 뿔뿔이 흩어지게 된다.

 

문화

 

초기에는 인도의 산스크리트 문화를 수용하였으나, 참파 왕국 멸망 전에는 말레이족의 이슬람 문화로부터 상당한 영향을 받음.       

 

죽은 사람을 두 번 매장하는 것이 특징 (임시 무덤에 매장 후 1년후, 뼈를 추려서 영구적인 무덤에 고인의 반지들과 같이 매장)

 

Paranung (북) Saranai (나팔) Mua Cham (짬족의 춤)

 

캄보디아의 짬족은 외삼촌이 가정에서 권위를 갖는 것이 특징 

짬족 사회는 모계중심(여성에 의해 혈통이 이어짐)의 사회 (학살로 여성보다는 남성들이 훨씬 많이 사망한 데에서 기인) 
남자가 결혼하면 장가에 들어가서 삼.

 

캄보디아의 참족은 언어와 이슬람이라는 종교로 자기들의 정체성을 유지 강화.      

 

 

캄보디아의 참족

 

중세 1471년 짬파왕국이 베트남에 멸망을 당한 후 4차례에 걸친 집단 망명을 캄보디아로 이주.  

당시 태국 아유타유 왕조의 침략으로 인해 방비가 허술해진 캄보디아로 이주해 온 참파의 지배층 및 왕족은 약 60만명으로 추산한다 (1822년)

 
캄보디아에 들어와 현재의 우동이라는 지역에 터를 잡은 후 캄보디아의 국왕과 좋은 관계 유지.   
메콩 강과 바싹 강을 따라 자연스럽게 집성촌을 형성.  
현재 캄보디아 전역에 걸쳐 371개의 짬족 마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캄보디아에서 가정 큰 소수 종족이 됨.


크메르 루즈 정권의 참족 대학살 (1975-1979년): 
1975년 당시 캄보디아에 살고 있던 무슬림 짬족 인구는 25만명,
당시 약 10만 명의 짬족이 살해되었다고 알려지고 있으며, 살아남은 사람들은 작은 집단으로 흩어짐.
무슬림 짬족으로서의 정체성을 지키며 살아 남았던 일부 짬족 생존자들이 있었으나 결국 질병과 기아로 사망. 
크메르 루즈 정권은 이슬람교를 믿는다는 이유로 짬족 사람들은 무작위 체포하고 살해.    
자신들의 모국어(짬어) 사용을 금지 당했고 무슬림들에게는 식품으로 금기시되는 돼지고지를 먹도록 강요당함.   

 

 

2013.02.03 00:59

타밀어와 한국어 비교

언어분석

 

 

2013.01.06 15:10

중국 소수민족의 언어 분류

언어

중국의 소수민족의 언어 분류 

 

1.    중국-티벳 어계

 

1)    캄-타이 어족 

 

어족의 주요 언어:        

타이어, 라오어,

 

중국 내 소수민족 언어:    

쭈앙어, 뿌예이어, 따이어, 물람어, 동어, 슈이어, 겔로어, 리어, 마오난어

 

중국내 거주 지역:        

꽝시성, 윈난성, 꾸이조우성, 하이난성

 

2)    미야오-야오 어족 (묘-요)    

 

어족의 주요 언어:        

미야오어, 야오어, 써어

 

중국 내의 소수민족 언어:    

미아오어, 야오어, 써어

 

중국 내 거주 지역:        

후난성 서부산악, 꽝시성, 꾸이조우성, 윈난성, 꽝뚱성 서부산악

 

3)    티벳-버어마 어족

 

어족의 주요 언어:        

티벳어, 부탄어, 버어마어 (미얀마어)   

 

중국 내의 소수민족 언어:    

티벹어, 이어, 하니어, 투지아어, 아창어, 리쑤어, 나시어, 라후어, 빠이어, 징포어, 누어, 드룽어, 로바어, 치앙어, 몬빠어, 지노어, 프리미어

 

중국 내 거주 지역:        

티벳, 쓰촨성, 칭하이성, 윈난성, 꾸이조우성

 

4)    중국 어족

중국의 다수 민족

중국에는 10억의 중국인이 사용하는 중국어가 있고 많은 방언으로 나뉘지만 광둥어 (廣東語) 및 푸젠어 (福建語) 등은 뚜렷하게 다른 언어와 분리되어 있어 서로 의사 소통이 되지 않는다.  타이완 (대만) 에서는 푸젠어 계통의 언어가 유력하게 사용되고 있다. 

 
2.   오스트로-아시아 어계

 

1)    몬-크메르 어족

 

어족의 주요 언어:    

크메르어 (캄보디아어), 베트남어

 

중국 내의 소수민족 언어:

떼앙어, 블랑어, 빠어, (징어 ?)

 

중국 내의 거주 지역:    

윈난성 서부의 누강과 란찬강의 중간 지역

 

2)    문다 어족 

없음

 

3)    니코바시아 어족

없음

 

 

3.   알타이 어계

 

1)    투르크 어족 

 

어족의 주요 언어:    

북서부 킵차크 어군 (카자흐어, 키르기즈어, 타타르어), 남동부 어군 (우즈벡어, 위구르어),  남서부 오구즈 어군 (터어키어) 

 

중국 내의 소수민족 언어:

위구르어, 카자흐어, 키르기즈어, 타타르어, 우즈벡어  

 

중국 내의 거주 지역:  

신장성 대부분, 내몽골의 북서부, 깐쑤의 일부

 

2)    몽골 어족

 

어족의 주요 언어: 

몽골어, 브리야트어  

 

중국 내의 소수민족 언어:

똥샹어, 투어, 보난어, 다우르어, 유구르어

 

중국 내의 거주 지역: 

내몽골, 신장성, 중국 북부의 대부분 지역


3)    퉁구스 어족

 

어족의 주요 언어: 

북부 어군 (에베키어),   남부 어군 (만주어, 허첸어) 

 

중국 내의 소수민족 언어:

어웬크어 (에벤키어), 오로켄어, 만주어, 허첸어,

 

중국 내의 거주 지역: 

내몽골, 신장성, 헤이룽성의 북동부, 쑨가리강의 하류지역

 

 

2013.01.06 14:20

한옥- 반값 한옥

한국문화

반값 한옥

 

하루 만에 집을 짓는다

2012-02-05 10:12

국제적 이슈로 떠오르는 패시브하우스(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해 따뜻한 실내를 유지하는 것)의 기술과 모듈형 공법의 접목으로 혁신적인 공사비용을 제시하는 조립식 한옥.

한옥은 자연을 벗삼아 고전적인 정취를 만끽할 수 있어 인기가 높다. 하지만 막상 한옥을 내 집으로 소유하려고 보면 어려움이 많다. 현대 생활에 맞지 않는 구조나 방음, 단열에 취약하며 무엇보다 평당 800만~1,000만원을 호가하는 시공비 때문이다.
마에스트로의 대표 배삼성은 “기존 한옥이 수작업 현장생산 방식이었던 것에 반해, ‘하루’ 한옥은 한옥을 모듈별로 나눠 자동 공장생산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공장에서 생산된 모듈을 현장으로 옮겨와 조립하는 과정은 딱 하루면 충분하다”며 “설계, 자재, 시공이 표준화 되고 자동화되니 기존 한옥 건축 비용의 절반에 불과한 평당 400만원 대에 한옥 건축이 가능해진 것”이라고 말했다.

기존 한옥의 고질적인 단열과 방음 문제에 대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임석호 선임연구위원은 “조립식 한옥은 2중 단열재와 3중 창호를 사용해 외부로 뺏기는 열을 최소화했고, 방음 또한 건축법에서 요구하는 성능을 만족시켰다”고 밝혔다. 


 

 

 

 

 

 

 

 

2013.01.01 19:56

한국산 한자어

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