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제일 높은 산 카까보 라지 아래 동네 푸타오Putao 목가적인 픙경 / 카친족 빌리지의 비극 미얀마 버전 / 버마(미얀마)에서 가장 높은 산이고, 동남아시아시아에서 제일 높은 산 카까보 라..

2022. 9. 18. 07:35카친의 세계/카친의 자연

미얀마 제일 높은 산 카까보 라지 아래 동네 푸타오Putao 목가적인 픙경

A Trip to Putao, Kachin State,Myanmar

https://youtu.be/928_WmwWn3Y

 

 

 

미얀마 카친주 수도 미찌나 MYITKYINA로 가다

KACHIN STATE myanmar MYITKYINA 2013

ttps://youtu.be/oBlxWzY1l7o

 

 

 

카친주 수도 미찌나 타운 주변 산책

Walking Around Myitkyina (Kachin, Myanmar)

https://youtu.be/qRhlALEB5lQ

Myitkyina / မြစ်ကြီးနားမြို့ is the capital city of Kachin State / ကခ်င္ျပည္နယ္ in Myanmar, located 1,480 kilometers (920 mi) from Yangon and 785 kilometers (488 mi) from Mandalay. In Burmese it means "near the big river," and Myitkyina is on the west bank of the Ayeyarwady River, just below 40 kilometers (25 mi) from Myit-son (Burmese for confluence) of its two headstreams (the Mali and N'mai rivers). It is the northernmost river port and railway terminus in Myanmar. The city is served by Myitkyina Airport.
 
The population of the town is around 200,000 and includes a healthy ethnic mix of Bamar, Kachin, and Indian people. Myitkyina was the site of a bitter battle between Japanese and Allied forces during the Second World War. The town was almost completely destroyed in the battle. The location of the town, in an opportunistic valley between India and China, made it strategic enough to be on the Ledo Road built by the US General Joseph Stilwell.
 
American Baptist missionary George J. Geis and his wife arrived in Myitkyina in the late 1890s and in 1900 they requested a permission to build a mansion there and the building was named Geis Memorial Church. It is one of the Kachin Baptist Convention(KBC)churches in Myitkyina. Japanese forces captured the town and nearby airbase during World War II in 1942. In August 1944,
Myitkyina was recaptured by the Allied forces under General Joseph Stilwell after a prolonged siege and heavy fighting between Nationalist Chinese divisions, the Chindits, and Merrill's Marauders of the Northern Combat Area Command and the besieged elements of the 33rd Imperial Japanese Army under General Masaki Honda.
 
The town was strategically important not only because of its rail and water links to the rest of Burma, but also because it was on the planned route of the Ledo Road.

Myitkyina / မြစ်ကြီးနားမြို့는 카친 주 / ကခ်င္ျပည္နယ္ 수도로,  양곤에서 1,480킬로미터(920마일), 만달레이에서 785킬로미터(488마일)에 위치해 있다. 버마어에서는 "큰 강 근처"를 의미하며 Myitkyina는 Ayeyarwady 강의 서쪽 둑에 있으며, Myit-son (Burmese가 합류하기 위해)에서 40 킬로미터 (25 마일) 바로 아래에 있습니다 두 개의 상류 (말리와 N'mai 강). 그것은 미얀마에서 최북단 강 항구와 철도 종착역입니다. 이 도시는 Myitkyina 공항에 의해 제공됩니다.

 

이 마을의 인구는 약 200,000 명이며 바마르, 카친 및 인도 사람들의 건강한 민족 혼합을 포함합니다. Myitkyina는 차 세계 대전 동안 일본군과 연합군 사이의 격렬한 전투의 장소였습니다. 마을은 전투에서 거의 완전히 파괴되었습니다. 인도와 중국 사이의 기회주의적인 계곡에 위치한 이 도시는 미국 장군 조셉 스틸웰이 건설한 레도 로드(Ledo Road)에 있을 만큼 전략적이었다.

 

미국 침례교 선교사 조지 J. 게이스와 그의 아내는 1890년대 후반에 미트키나에 도착했고, 1900년에 그들은 그곳에 저택을 지을 수 있는 허가를 요청했고, 그 건물은 게이스 기념 교회(Geis Memorial Church)로 명명되었다. 그것은 Myitkyina에있는 Kachin Baptist Convention (KBC) 교회 중 하나입니다. 일본군은 1942 년 제 2 차 세계 대전 중에 마을과 인근 공군기지를 점령했습니다. 1944년 8월,

Myitkyina는 민족주의 중국 사단, Chindits, 그리고 북부 전투 지역 사령부의 Merrill의 Marauders와 Masaki Honda 장군 아래 제 33 제국 일본 군대의 포위 된 요소 사이의 장기간의 포위 공격과 격렬한 전투 끝에 조셉 스틸웰 장군 아래 연합군에 의해 탈환되었다.

 

이 도시는 버마의 나머지 지역과의 철도 및 물 연결 때문에뿐만 아니라 레도 도로의 계획된 경로에 있었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중요했습니다.

 

 

 

 

 

버마(미얀마)에서 가장 높은 산이고, 동남아시아시아에서 제일 높은 산

 

미얀마 공화국은 일반적으로 버마라고도 불리며 방글라데시, 중국, 라오스, 태국 및 인도를 경계로하는 동남아시아 국가의 국가입니다. 이 나라는 총 육지 면적이 676, 578 평방 킬로미터이고 북위 9도에서 북반구 29도 사이이고 동경 91도 동쪽과 102도 동쪽에 있습니다. 버마의 대부분은 아시아의 몬순 지역에있는 북동맥과 적도에 있습니다. 이 나라의 연안 지역은 연례 강우량 5, 000 밀리미터를 받는다. 미얀마에는 Bago Yoma, Rakhine Yoma, Tenasserim Hills, Shan Hills 등 여러 산이 있습니다. 이 나라의 산들은 히말라야에서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릅니다. 산의 사슬은 세 나라의 강, Salween, Irrawaddy 및 Sittaung River를 나눕니다. 여기 미얀마에서 가장 높은 산이 보입니다.

만년설이 덮힌 Hkakabo Razi Mt. , Putal, Kachi State, Burma

눈 덮힌  카까보 라지 정상에 카친기를 꽃는 카친족 청년

카까보 라지

Hkakabo Razi는 표고가 가장 높고 미얀마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표고가 19, 295 피트 (5, 881 미터)입니다. 산은 또한 동남 아시아에서 가장 높으며 그레이터 히말라야 산맥의 카친 북부 미얀마 주에서 발견됩니다. 마운트 카카 보 라지 (Mount Hkakabo Razi)는 넓게 우거진 상록 우림으로 이루어진 완전히 산이있는 하카 카보 라지 국립 공원 (Hkakabo Razi National Park)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산은 고도 수준에 따라 구역으로 나뉩니다. 이 지역은 아열대 온대 (8, 000 ~ 9, 000 피트), 반 낙엽 숲, 바늘 잎 눈 숲, 고산 지역을 포함합니다. 카까보 라지 마운틴 (Hkakabo Razi Mountain)은 특히 겨울철에 비가 내릴 때보 다 눈이 많이 내리는 고산 기후를 경험합니다 (섭씨 60도에서 섭씨 23도). 산의 첫 번째 등반은 1996 년 Takashi Ozaki와 Nyima Gyaltsen이 만들었습니다. Hakakabo Razi 산과 Hkakabo Razi 국립 공원은 광범위하게 연구되거나 연구 된 적이없는 동식물이 풍부합니다. 1993 년 말까지 아무도 시민들이 산 주위로 들어갈 수 없었기 때문에 처음으로 산을 오르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

감랑 라지 삼맥

Gamlang Razi Mountain은 동남 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높은 산 중 하나라고 생각됩니다. 산은 카친 주에있는 미얀마 북부에서 발견된다. 산은 19, 259 피트에서 측정되었으며 GPS (Global Positioning Satellites) 사용으로 검증 된 가장 높은 산입니다. Mount Hkakabo Razi는 아직 GPS를 통해 측정되지 않습니다. Mount Gamlang Razi는 Khakaborazi 국립 공원 내에 있으며 히말라야 산맥의 일부를 형성합니다. 산은 1 년 내내 빙하와 눈이 특징이며 암석 종류는 화강암입니다. Mount Gamlang Razi의 첫 등반은 Andy Tyson이 이끄는 미얀마 기술 클라이밍 클럽 팀과 미국 팀에 의해 2013 년에 시작되었습니다. 최고점까지의 등반 경로는 두꺼운 열대 우림과 물줄기를 통과하며 산 기슭에 도착하기까지 약 2 주가 소요됩니다.

Dindaw Razi

딘도 라지Dindaw Razi는 정상 회담에서 해발 17, 927 피트를 측정하는 버마 및 동남 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산 중 하나입니다. 산은 미얀마 북부의 카친 (Kachin) 주에서 발견되며 중국 국경 근처의 그레이터 히말라야 산맥의 범위를 넘어서고있다.

타미 라지

타미 라지 마운틴은 버마에서 네 번째로 높은 산으로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산 중 하나이기도합니다. 산은 그레이터 히말라야 산맥의 범위를 벗어난 카친 (Kachin)의 미얀마 북부 지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마도이 라지

Mount Madoi Razi는 미얀마의 Putao 북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산은 15, 144 피트를 측정하여 동부 히말라야의 독특한 특징 중 하나를 형성합니다. Mount Madoi Razi는 Madoi Madaing Razi의 우천에있는 먼 고원 지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산에는 멸종 위기 야생 생물 종들이 많이 있습니다. Madoi Razi 산에서 발견 된 식물 종은 산지 주변에 사는 지역 사회에서 약용 가치가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따니 라지

Mount Tani Razi는 Arunachal Pradesh 주에 위치하고 있으며 해발 15, 026 피트의 고도에 서있는 인도와 버마 국경을 따라 위치하고 있습니다. 산은 작은 정상 회담 지역과 가파른 경사가 특징입니다. 마운트 타니 라지 (Mount Tani Razi)는 등반 기록이 없으며 그에 대한보고가 거의 없습니다. 아시아에서 가장 연구 된 산 중 하나입니다. 마운트 타니 라치 (Mount Tani Razi)는 인근에 거주하는 공동체가없는 무인도입니다. 산은 초원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타니 라치 산 (Mount Tani Razi) 주변의 주변 지역은 남서부와 북서쪽 언덕이 산악 지대입니다. 이 지역은 연평균 기온 -2도, 연평균 강우량 1, 800 밀리미터를 경험합니다.

팡란 라지

마운트 팡란 라치 (Mount Phangran Razi)는 해발 14, 199 피트 높이까지 올라가고 Putao에서 북서쪽으로 95km 떨어진 인도와 미얀마 경계에 위치해 있습니다. 산을 덮고있는 식물은 대나무 숲, 구름 숲, 진달래 등 높은 고도를 지배하는 소나무로 다양합니다. 야생 동물, 특히 방목 유형은 Phangran Razi 산에서 매우 일반적입니다. 산 기슭을 가로 지르는 몇 개의 긴 강 계곡이 있습니다. 등반 산 Phangran Razi는 매우 까다 롭고 까다 롭지 만 매우 보람이 있습니다. 정상에서 등산가들은이 지역의 눈 덮힌 산을 볼 수 있습니다.

포닌 라지

Mount Phonyin Razi는 버마에서 가장 큰 봉우리 중 하나라고합니다. 그것은 미얀마 북서쪽 히말라야 산맥의 인도 국경과 가까운 버마에 위치해 있습니다. 산은 높이가 14, 049 피트입니다. 마운트 Phonyin Razi는 원격 Lisu 부족 마을에 살고있는 지역에서 Putao의 마을에서 액세스 할 수 있습니다. 산 주변 지역은 긴팔 원숭이와 랑 구르의 고향 인 숲으로 덮여 있습니다. Phonyin Razi 산의 식물 지대에는 온대림, 대나무 숲, 고산 대나무 숲이 있습니다.

버마 산 생태계에 대한 위협

버마의 산은 다양한 동식물이 특징 인 생물 다양성 핫스팟입니다. 그러나 산지는 농경지 손실과 같은 농업 및 로깅과 같은 인간 활동을 포함하여 몇 가지 위협에 직면 해 있습니다. 산 염소와 야생 버팔로를 포함한 야생 동물의 밀렵도이 산악 지역에 직면하는 주요한 위협입니다. 미얀마 정부는이 지역을 더 이상 서식지의 손실을 막기위한 보전 노력으로 보호 지역으로 선언했다.

계급미얀마 (버마)에서 가장 높은 산높이
1 카까보 라지


19, 295 피트
2 감랑 라지 19, 259 피트
3 딘도 Dindaw Razi 17, 927 피트
4 따미 라지 16, 736 피트
5 따스도 라지 15, 883 피트
6 마도이 라지 15, 144 피트
7 따니 라지 15, 026 피트
8 팡란 라지 14, 199 피트
9 노이 매드 웨 14, 170 피트
10 포인 라지 14, 049 피트

 

 

 

 

카친족 빌리지의 비극 미얀마 버전  2015 12. 28

A Tragedy of Kachin Village Myanmar version 28 12 2015

https://youtu.be/Vx5Huc10s5Q

 

 

 

자원환경지질, 제52권, 제5호, 499-508, 2019

Econ. Environ. Geol., 52(5), 499-508, 2019

http://dx.doi.org/10.9719/EEG.2019.52.5.499

 

pISSN 1225-7281 eISSN 2288-7962

미얀마 북서부 보피붐 크롬광화대 연구결과 리뷰

499-508_KSEEG-19-025.pdf
7.53MB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37021071_miyanma_bugseobu_bopibum_keulomgwanghwadae_yeongugyeolgwa_libyu_hangugjijiljawon-yeonguwon_gwangmuljawon-yeongubonbu_jawontamsagaebal-yeongusenteo_2_gwahaggisul-yeonhabdaehag-wondaehaggyo_gwangmulji

미얀마 북서부 카친주 보피붐 크롬광화대 연구결과 리뷰

 

허철호1,2* · 류충렬3 · 박계순2,4

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자원탐사개발연구센터,

2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광물지하수자원학과

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활성지구조연구단,

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DMR 융합연구단

 

Review on Research Result for Bophi Vum Chrome Mineralized Zone in Northwestern Myanmar

 

Chul-Ho Heo1,2*, Chung-Ryul Ryoo3 and Gyesoon Park2,4

 

1 Mineral Resources Development Research Center, Mineral Resources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Daejeon 34132, Korea

2 Department of Mineral and Groundwater Resources,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UST), Daejeon 34113, Korea

3 Center for Active Tectonics, Geology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Daejeon 34132, Korea

4 Convergence Research Center for Development of Mineral Resources (DMR),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Daejeon 34132, Korea (Received: 29 July 2019 / Revised: 2 September 2019 / Accepted: 4 October 2019)

 

     Based on the preliminary surveys for the occurrences of the Muwellut chrome-nickel mineralized zone (800 km2 ) in northwestern Myanmar, Bophivum area was selected as the detailed exploration area after considering data source, geological potential, metallogenic province, necessity of resource development on target mineral, exploration activity, grade, ore deposit type, nearby operating mine, infrastructure and exploration prediction effect. From 2013 to 2016, KIGAM and DGSE carried out geological and geochemical survey with 1:1,000 scale, magnetic survey(areal extent, 1.672km2 ), trench survey(19 trench, total length 392 m), pitting survey(18 pit, total depth 42.6m), exploration drilling(6holes 600m, 2015; 13holes 617.4m). We analyzed Cr and Ni contents of 77 drill cores with specific gravity in Yangon DGSE analytical center. Considering surface geological survey, geochemical exploration, magnetic survey, trench survey and drilling data, we divided Bophivum area into 8 blocks. Resource estimation are divided into measured and indicated resources. Measured resource is about 9,790t and indicated resource is about 12,080t with the average grade of Cr 11.8% and Ni 0.34%. In case of Bophivum area, if we develop by tying up Webula chrome mineralized zone in the south, it will be possible to upgrade the medium-scale mine. Geologically, the ophiolite belt are distributed in the western and eastern part in Myanmar. So, the exploration technology obtained from exploation in Bophivum area will be helpful to discover the hidden chromitite ore body in Myanmar ophiolite belt in the future.

 

Key words : exploration, resource estimation, chrome, Bophivum, Myanmar

 

미얀마 북서부 물웨룻 크롬-니켈광화대(약 800 km2 )의 산출지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통해, 자료원, 지질잠재성, 광 상구 소재여부, 대상광물의 자원개발 필요성, 기탐사실적, 품위, 광상형, 인근 가행광산 여부, 인프라환경 및 탐사예상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Corresponding author: chheo@kigam.re.kr 500

 

499

 

500                                                                                      허철호 · 류충렬 · 박계순

 

효과를 면밀히 검토한후 보피붐 지역을 정밀탐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이후 2013년부터 2016년까지, 한국지질자원연 구원과 미얀마지질조사광물탐사국은 1:1,000 축척 지질 및 토양지구화학탐사, 자력탐사(1.672km2 면적), 트렌치조사(총 연장 392 m 19개), 피트탐사(총 심도 42.6m 18개), 탐사시추(2015년, 6개공 600m 시추 및 2016년, 13개공 617.4m) 를 수행했다. 이중 11개공에서 77개 시추코어시료를 채취하고 각각 비중과 Cr 및 Ni 함량을 양곤 DGSE 분석센터에 서 분석했다. 기수행 지표지질조사, 지구화학탐사, 자력탐사, 트렌치조사, 시추자료를 고려하여 보피붐 지역을 8개 블 록으로 구분했으며 자원량평가는 정측자원량 및 개측자원량으로 평가했다. 정측자원량은 약 9,790톤이며, 개측자원량 은 약 12,080톤이고, 평균품위는 Cr 11.8% 및 Ni 0.34%이다. 보피붐 지역의 경우, 남쪽의 웨불라(Webula) 크롬광화 대와 연계해서 개발한다면 중규모급 광산의 개발여지가 있으며, 미얀마는 지질학적으로 오피올라이트 벨트가 서측과 동측에 광대하게 분포하고 있어 보피붐 지역에서 기초탐사를 수행하면서 습득한 탐사기법은 향후 미얀마 오피올라이 트벨트에서 잠두 크롬광체를 발견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어 : 탐사, 자원량평가, 크롬, 보피붐, 미얀마

 

1. 서 론

 

    미얀마는 광물자원이 풍부한 나라이며 여러 광상과 광구가 세계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마우치(Mawchi) 광산은 과거 세계적으로 가장 큰 텅스텐 광산 중 하나 였으며, 주석 광산으로서는 두 번째로 큰 광산이었다. 지금은 채진된 보드윈(Bawdwin) 광산도 연-아연-은의 세계적인 광산이었다. 모니와(Monywa) 지역의 대규모 고유황형 천열수형 동광상은 1980년대초 이래로 생산 중이며, 용매추출법과 전해채취법의 현대적인 기술을 이용해 전기동을 생산하는 합작법인이 운영되고 있다. 따가웅 따웅(Tagaung Taung) 지역의 니켈 라테라이트 광산은 역시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광산이다. 그리 고, 샨(Shan)주 살윈(Salween)강 동측에 있는 만 막흐 산(Man Makhsan) 주석광상은 최근에 발견되어 미얀 마를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주석 수출국가로 만들고 있다(Goossens, 1978; Mitchell and Garson, 1981; Soe Win and Marlar Myo Myint, 1998; Gardiner et al., 2014; Mitchell, 2018).

    본 연구는 2011년 12월 7일 서울에서 개최된 지식 경제부 주관 제5차 한-미얀마 자원협력위원회를 통하 여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과 미얀마 천연자원환 경보전부(MONREC) 지질조사광물탐사국(DGSE)이 공 동으로 미얀마 광물자원개발 및 기술협력을 추진하기 로 협의한 이후 수행된 후속조치의 결과물이다. 특히, 이 당시 정부의 희유금속자원개발 필요성이 대두되었 고 탐사후보지 선정을 위해 2012년 9월과 10월에 각 각 1, 2차 KIGAM-DGSE 공동조사단의 예비현장조사 를 미얀마 북서부 무웰룻(Muwellut) 크롬-니켈-백금 광 화대(약 800 km2 )의 산출지들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예비현장조사 결과, 첫째 보피붐(Bophi Vum) 일대는 다른 탐사후보지에 비해 뚜렷한 크롬철석암(chromitite) 산출을 지표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초염기성 암체에 수반된 특징적인 크롬철석암 산출상인 고치상 (podiform) 크롬철석암이 지표에서 관찰되었고, 둘째로 시료분석결과 품위가 양호했고, 셋째로 인근에 크롬과 수반되는 니켈광산이 생산준비를 하고 있었으며, 넷째 로 용수, 노동력, 도로, 공항 여건이 양호하였다. 이를 근거로 매장량 확보 및 검증을 통한 사업화가 가능하 다고 판단하여 2013년 3월 28일 미얀마 북서부 보피 붐 크롬광화대 공동탐사를 위한 KIGAM-DGSE 간 연 구협약(RA)을 체결하였다.

   그리고, 2013년 4월과 9월에 지질조사 및 토양지구 화학탐사, 2014년 2월과 4월에 자력탐사 및 트렌치탐 사, 2015년 3월과 10월에 6개공 600m 시추설계 및 탐사시추, 2016년 4월과 9월에 13개공 617.4m 탐사시 추를 수행하여 자원량을 평가하였다. 이번 리뷰는 미 얀마 북서부 보피붐 크롬광화대를 대상으로 2013년부 터 2016년까지 수행된 탐사부터 자원량 평가까지의 연 구결과를 개괄하고, 국내 기업이 해당지역에 진출할 때 유용한 기술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2. 광역지질

 

  미얀마는 지질학적으로 6개의 지구조 단위로 구분된 다(Chhibber, 1934a; Pascoe, 1959; Bender, 1983; Fig. 1). 라카인(Rakhine) 해안평원은 신생대 퇴적분지 로 방글라데시까지 연장되어 있다. 라카인-친-나가힐 (Rakhine-Chin-Naga Hills)은 길쭉한 습곡대로 대부분 플리쉬 퇴적물과 관련된 오피올라이트 층서로 구성되 어 있다. 중부 벨트는 주로 신생대 퇴적물과 열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축을 따라 화산암들이 뽀빠(Popa), 신마다웅(Shinmadaung), 모니와(Monywa), 운토(Wuntho) 육괴에 분포하고 있다. 카친(Kachin) 고원지역의 지질은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이 지역은 분화되지 않은 변성암

 

                                                                            미얀마 북서부 보피붐 크롬광화대 연구결과 리뷰                                                            501

 

과 화성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오피올라이트 층서들도 잘 알려져 있다(Ningthoujam et al., 2012; Sing, 2013; Pal et al., 2014). 연장 약 1,400km에 이르는 모곡(Mogok) 벨트는 미그마타이트, 편마암, 석 회규산염암, 알라스카이트로 구성된 변성암 지역이다. 이 벨트는 선캠브리아기 변성퇴적암들과 경계를 이루 고 있다. 샨-따닌타리(Shan-Tanintharyi) 벨트는 샨 (Shan) 대지 및 따닌타리(Tanintharyi) 반도 지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벨트를 이루는 암석들은 주로 고생 대 퇴적암으로 여러 시기의 화강암과 섬록암에 의해 관입을 받은 쇄설암과 탄산염암으로 구성된다. 중생대 퇴적물은 선형으로 발달하는 단층분지를 충진하고 있 다. 기반암은 고변성 변성암 및 선캠브리아기 후기 변 성퇴적암들로 구성되어 있다. 서쪽으로 이들 암석들은 샨 경계(Shan Boundary) 단층에 의해 갑작스럽게 사 라졌다(Win Swe, 2012; Gardiner et al., 2016; Liu et al., 2016a,b; Barber et al., 2017; Niu et al., 2017). 그리고, 미얀마의 지체구조 발달사에 의하면, 백 악기 초기 곤드와나 대륙으로부터 분리된 시노버마라 야(Sinoburmalaya) 지괴가 북동 방향으로 점차 이동하 면서 난(Nan) 봉합대를 따라서 인도차이나 대륙지괴와 충돌하였으며, 그 결과 유라시아 대륙지괴의 남동부에 서 원시-동남아시아 반도가 형성되었고, 동시에 인도 대륙지괴는 북동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백악기 말에 시 노버마라야(Sinoburmalaya) 대륙지괴 밑으로 해양지각 이 섭입되어 크롬-니켈 광화대를 수반하는 인도-버마 오피올라이트 벨트가 형성되었다(Maung Thein, 1973; Hutchison, 1975, 1989). 조사지역인 미얀마 북서부 보피붐 크롬 광화대는 인도-버마 오피올라이트 벨트에 해당되며, 기존 미얀마에서 발간된 지질도에 의하면 보 피붐 크롬 광화대의 서부에는 쐐기형 부가대에 속하는 퇴적암층군이 남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동부에는 사 문암화 작용을 받은 오피올라이트 벨트가 분포하고 있 다(Wagner, 1983; Zhou and Robinson, 1997; Zhou et al., 1994).

 

Fig. 1. Tectonic division of Myanmar modified from Soe Win and Marlar Myo Myint (1998).

 

3. 탐사방법

 

    3.1. 지질조사

   축척 1:5,000의 지형도를 조사원도로 이용하여 1:1,000 축척의 정밀지표지질조사를 수행하였다. 분포 암상으로는 하즈버가이트, 사문암, 더나이트 등이 있으 며, 저지대와 계곡을 중심으로 제4기 충적층이 피복하 며 발달한다. 특히 하즈버가이트, 사문암 및 더나이트 는 연구지역 내에서 남-북 내지 북북서-남남동 방향으 로 층상을 이루며 발달한다. 하즈버가이트는 주로 사 방휘석과 감람석이 기질을 이루며, 연녹색의 중립질 내 지 조립질의 입상조직을 보이나, 일부 지역에서는 연 황색의 세립질 내지 중립질의 감람석이 기질을 이룬다 (Fig. 2A). 하즈버가이트는 남-북 방향의 주향을 가지며, 층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전단대 또는 단층파 쇄대 내에서는 후기 열수작용 등으로 인해 사문석화 되었다. 사문암은 연구지역 서부 일원의 고지대에 주 로 분포하고 있으며, 하즈버가이트와 접촉하며 발달한 다. 사문암은 암녹색을 띠며, 주로 세립질 내지 중립질 의 기질을 이루고 있다. 사문암의 기원암은 하즈버가 이트와 더나이트로서 각력화되어 발달하며, 후기 교대작 용에 의해 거의 사문암화 되었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사문암으로 교대중인 감람석이나 휘석 입자들이 육안 으로 관찰된다. 연구지역 내에 분포하는 더나이트는 하즈버가이트 분포대 내에 맥상, 렌즈상 및 포켓상으로 배태되어 있다.

 

Fig. 2. Representative photographs of outcrop and thin sections from harzburgite (A) and dunite (B).

 

502                                                                                   허철호 · 류충렬 · 박계순

 

    연황색의 세립질암으로 입상조직을 보 이며 일부 지역에서는 세립질 감람석으로 구성된 기질 에 간혹 자형의 감람석이 산점상으로 발달한다. 연구 지역에서는 소규모의 암맥상 내지 렌즈상의 더나이트 가 지표에 노출되어 있으며, 대체로 산점상, 암맥상, 렌 즈상, 포켓상의 크롬철석암을 수반하고 있다(Fig. 2B). 특히 이들의 발달방향은 남-북 내지 북북서-남남동 방 향으로 분포한다. 그러나 지표상에서 이들의 연장성은 뚜렷하게 확인되지 않는다. 또한 연구지역 내에는 총 3개의 전단대가 발달하며 이들 전단대의 방향은 북북 서-남남동 방향으로 발달한다(Fig. 3). 이들 전단대들은 지표로부터 약 200-240 m, 300-320 m, 400-500 m 고도에서 발달하며, 전단대들의 폭은 약 70 m, 120m, 250 m로 발달하는 것으로 기재된 바 있다(Heo et al., 2014; Jin et al., 2014). 전단대 내에는 다수의 전 단면들이 관찰되며, 특히 이들 전단면 주변으로는 각 력화된 단층암들이 발달한다. 또한 전단대 내에서는 다 수의 전단면들과 각력화된 단층암들이 반복적으로 관 찰된다. 이러한 북북서-남남동 방향의 전단대는 미얀마 와 인접한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의 충돌에 의해 형성된 남-북, 북북동-남남서, 북북서-남남동 방향의 서부습곡 대 내 단층 및 습곡축의 방향과 일치한다(Heo et al., 2014; Jin et al., 2014; Park et al., 2017).

 

           Fig. 3. Geologic map of Bophi Vum.

 

                                                                             미얀마 북서부 보피붐 크롬광화대 연구결과 리뷰                                                            503

 

     3.2. 지구화학탐사

    2013년 1차 현지조사시 작성된 지표지질도(1:5,000) 를 기반으로 주로 동서 방향으로 발달한 수개의 산능 선을 따라 간이 측량측선을 기준으로 50 m 간격으로 토양 채취지점을 선정하여 피팅 탐사를 수행하였다. 보 피붐 지역 대부분의 노두는 토양과 잔류 쇄설퇴적물로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기반암이 관찰될 때까지 지표에 서 약 0.7~1 m 깊이로 굴착한 후에 시료채취 및 현 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토양시료는 각 시료채취 지점 에서 토양단면 조사를 통해 기반암 직상부의 갈색 환 원대에서 채취하였으며, 시료 채취지점의 토양과 기반 암에 대하여 휴대용 XRF 분석기를 이용하여 각 3회씩 크롬을 비롯한 니켈, 망간, 철함량을 측정하였다. 토양 시료 채취는 총 114개 지점에서 약 3kg씩 채취하였으 며, 수중에서 60~100메쉬 시브를 사용하여 100메쉬 시브에 걸린 시료를 약 50 그램씩 취하여 건조후, DGSE 산하 양곤 분석센터에 원자흡광분석을 의뢰하 였다. 토양시료의 원자흡광분석 측정자료에 의하면 토 양 시료의 Cr 농도는 12.42 wt.% 이하의 값을 나타 내고 있으며, 평균값은 0.25wt.% 이다. Ni 함량은 0.19~0.87 wt.%의 범위를 보이며, 평균값은 0.48wt.% 이다. 토양의 Fe 함량은 3.88~18.76 wt.%의 범위를 보이며, 평균값은 8.41 wt.%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반면 Mn함량은 0.34 wt.% 이하의 매우 낮은 농도를 보인다. 상기 조사를 바탕으로 토양시료를 대상으로 4개 금속원소(Cr, Ni, Fe, Mn)의 원자흡광분석치를 이용하 여 지구화학이상대 도면을 각각 작성하였다(Fig. 4). 자 료에 의하면 Cr의 경우 0.2 wt.% 이상의 분포대가 5 개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Ni 이상대(>0.5 wt.%)는 다소 좁은 면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주로 더나이트 분포대에 집중되고 있다. Fe 이상대는 매우 좁은 지역 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상대는 고철질 광물의 조성비율이 큰 지역에 국한되는 것으로 판단된다(Heo et al., 2014).

 

Fig. 4. Geochemical anomaly map of Bophi Vum area. (A) Cr (B) Ni.

 

     3.3. 자력탐사

    2014년 크롬철석암의 분포 및 지하 연장성을 확인하 기 위한 자력 탐사를 수행하였다. 이와 함께 현장 자 력 탐사 자료 해석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크 롬철석암과 함께 크롬철석암 주변에 함께 배태되어 산 출되는 하즈버가이트 및 더나이트 암석시료에 대한 간 이 자기감수율 측정을 수행하였다. 측정에 사용된 장 비는 KT-10 자기 감수율 측정기로 10−4 SI의 정밀도 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크롬철석암은 상대적으로 높은 자기감수율 값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in et al., 1987). 이 조사지역에 나타나고 있는 크롬철석암 역시 일반 퇴적암 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자기감수율 값을 나타내고 있다. 다만, 암석샘플을 통해 측정된 대자율 값이 대략 0.0005 ~ 0.002 SI 정도의 값을 나타내고 있어 크롬철석암의 자기감수율 범위에 포함되고는 있 으나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이고 있지는 않다. 이에 반하여 크롬철석암의 주변부를 구성하고 있는 더나이 트 및 하즈버가이트의 경우 크롬철석암에 비하여 상대 적으로 높은 자기감수율 값을 나타내고 있다. 측정 결 과를 보면, 상대적으로 높은 철함량을 갖는 것으로 해 석되는 더나이트 및 하즈버가이트의 자기감수율 값은 0.005 ~ 0.02 SI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크 롬철석암의 자기감수율 범위에 비하여 10배 정도 높은 수준의 자기감수율 값이다. 즉, 이 지역의 자기감수율 분포 특성을 고려하면, 자력 탐사 결과 고이상대 주변 부에 분포하는 저이상대 영역에서 크롬철석암이 배태 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Fig. 5). 자력 탐사 결과, 낮은 자력 이상대 지역과 지표 지질 조사 결과 를 통해 확인된 크롬철석암 산출지 영역이 잘 부합하 고 있으며, 3차원 역산 해석 결과의 저 자기감수율 모 델과도 공간적으로 잘 부합하고 있다(Park and Heo, 2014).

 

504                                                                                    허철호 · 류충렬 · 박계순

 

Fig. 5. Total magnetic anomaly maps. The red dots indicated the locations of chromite ore deposits modified from Park and Heo (2014). 

 

     3.4. 트렌치탐사

    지표지질조사를 통해 확인된 크롬철석암 광체의 연 장을 확인하고 광체 배태양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총 연장 392 m의 19개 트렌치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역 은 크롬광체를 포함하는 백악기 초염기성암이 서쪽의 삼첩기 퇴적층을 드러스트 하고 있으며, 크롬광체는 초 염기성암인 더나이트 및 하즈버가이트 내에 발달하는 데 주로 더나이트 암체 내에 배태되어져 있다. 더나이 트 및 크롬광체의 분포방향은 북서-남동 방향이며, 이 지역의 일반적인 지구조 방향인 남-북 방향과는 사교 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트렌치에서 관찰되는 크롬 광체와 주변의 더나이트 및 하즈버가이트는 심한 연성 변형을 보인다.

 

Fig. 6. Photo and block diagram on the trench 5 section, Bophi Vum area near Kalay, Myanmar. Chromite is developed along ENE trending boundary fault between dunite and harzburgite modified from Ryoo et al. (2015).

 

광체는 m 규모 내외의 폭과 수 m 규 모 내외의 연장성을 보이며, 시그모이드나 렌즈상으로 부딘화되어져 있다(Fig. 6). 연성변형의 특징은 상부가 동에서 서로 이동한 전단감각을 보이고 있어, 지역 규모의 드러스트 존재와 부합하고 있으며, 광체가 북서남동 방향의 배열을 보이는 것은 남-북 방향을 따른 우향의 주향이동에 의한 S자 모양의 전단구조에 의한 것, 서가형전단에 따른 지괴의 회전에 기인한 것, 또는 이들이 복합적으로 중첩된 결과로 해석된다(Ryoo et al., 2015).

 

      3.5.

     시추탐사 및 자원량 평가

    2015년 3월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미얀마 지질조사 광물자원탐사국이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수행한 지 표지질조사, 토양지구화학탐사, 자력탐사 및 트렌치조 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총 6개공 600 m 시 추를 하기로 결정했다. 우기로 인한 시추장비 운반 및 도로 개보수의 난항으로, 시추는 2015년 9월 6일부터 10월 22일까지 총 47일간 진행되었다. 시추결과, 6개공 에서 산점상 크롬철석을 포함한 크롬 광화작용은 지표 하부 4.9 m에서 32.5 m 사이에서 발견되었다. 특히, 5번공에서는 고치상 크롬철석암이 심도 6.8 m에서 맥 폭 약 1 m로 발견되었으며 괴상 크롬철석암은 심도 13.8 m에서 맥폭 약 0.7 m로 발견되었다(Fig. 7). 보피붐 크롬 광화대는 기수행 지표지질조사, 트렌치, 자 력탐사 및 시추공 자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6개 블 록으로 구분했으며 자원량 평가는 정측(measured)자원 량과 개측(indicated)자원량의 두 개 범주로 구분해서 시행되었다. 정측자원량은 약 7,780톤이며 개측자원량은 약 12,080톤이다. 그리고, 평균 품위는 크롬 12.61% 및 Ni 0.41%이다(Table 1 and 2). 시추결과, 보피붐 지역의 크롬철석 광화작용은 친힐(Chin Hills) 오피올라이트의 더나이트와 관련되어 있으며 고치상 크롬철석암이 렌즈상, 포켓상, 불규칙상 및 산점상으로 형성된다. 광체 의 연장은 일부 제한적이고, 맥폭은 0.5 m~1.25 m로 다양하다. 크롬 광화작용은 시추자료에 의하면 지표하 부 35 m까지 부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얀마 북서부 보피붐 크롬광화대 연구결과 리뷰                                                                505

 

Fig. 7. Photographs of leopard texture podiform chromitite (A) and massive chromitite (B) in BDH-05.

 

  2015년 미얀마 사상초유의 기상악화로 인한 폭우로 당초 계획했던 시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2016 년에는 2015년 시추결과를 고려하여 크롬광체의 최대 착맥심도를 50 m로 가정하고 12개공 600 m를 시추 설계하여 시공 하였다. 시추결과, 착맥구간이 많았던 시추공 BDH-13에서는 크롬 광화작용이 지표하 1.0m 에서 8.4m까지 괴상으로 부존하고, 고치상 크롬철석암 은 31.7~40.55m 구간에서 관찰되었다(Fig. 8). 시추공 BDH-13 근처 지표상 노두의 최대 크롬 품위는 Cr 35.8 %였으나 시추공 13번의 심부 4~5m 구간에서는 Cr 품위는 25.65%였다. 또한, 시추공 7번의 심부 31.8~32.8 m 구간에서는 Cr 품위는 27.13 %였다.

 

 Table 1. Measured resource calculation based on the drilling in 2015 Sr. No Block No. Length (m) Thickness (m) Depth (m) Volume (cu. m) S.G Tonnage (metric tons) Average Assay Remark Cr % Ni% 1 BL - 1 80 1.25 16.4 1640 2.30 3772 8.80 0.24 BDH- 1 2 BL - 2 50 1.0 7.5 375 2.92 1095 16.89 0.17 BDH- 2 3 BL - 3 190 1.16 1.2 264.48 2.99 790.795 9.23 0.23 BDH- 3 4 BL - 4 75 0.65 8.9 433.875 2.16 937.17 3.74 1.45 BDH- 4 5 BL - 5 25 1.0 10.7 267.5 2.61 698.175 19.38 0.16 BDH- 5 6 BL - 6 70 1.0 2.3 161 3.03 487.83 17.62 0.20 BDH- 6 Total (As it is) 7780 75.66 2.45 Based on drill holes Average Grade 12.61 0.41

 

Table 2. Indicated resource calculation based on the drilling in 2015 Sr. No Block No. Length (m) Thickness (m) Depth (m) Volume (cu. m) S.G Tonnage (metric tons) Average Assay Remark Cr % Ni% 1 BL - 1 160 1.25 16.4 3280 2.30 7544 8.80 0.24 BDH- 1 2 BL - 2 100 1.0 7.5 750 2.92 2190 16.89 0.17 BDH- 2 3 BL - 3 270 1.16 1.2 375.84 2.99 1123.762 9.23 0.23 BDH- 3 4 BL - 4 150 0.65 8.9 867.75 2.16 1874.34 3.74 1.45 BDH- 4 5 BL - 5 50 1.0 10.7 535 2.61 1396.35 19.38 0.16 BDH- 5 6 BL - 6 140 1.0 2.3 322 3.03 975.66 17.62 0.20 BDH- 6 Total (As it is) 15104.11 75.66 2.45 Average Grade 12.61 0.41 Tonnage after 20% deduction safety factor 12080

 

506                                                                                    허철호 · 류충렬 · 박계순

 

    2016년에는 기수행 지표지질조사, 트렌치자료, 자력탐 사자료, 2015년 시추자료를 고려하여 보피붐 지역을 8 개 블록으로 구분했으며 자원량평가는 정측자원량과 개 측자원량으로 평가했다(Fig. 9). 정측자원량은 약 9,790 톤이며, 개측자원량은 약 12,080톤이다. 그리고, 평균 품위는 Cr 11.8 % 및 Ni 0.34 %이다(Table 3 and 4).

 

Fig. 8. Photographs of massive chromitite (A) and podiform chromitite in dunite (B) in BDH-13.

 

Fig. 9. Composite map based on exploration data of Bophivum chromium mineralized zone modified from Heo et al. (2016).

 

Table 3. Measured resource calculation based on the drilling in 2016 Sr. No. Block No. Length (m) Thickness (m) Depth (m) Volume (cu.m) S.G. Tonnage (metric tons) Average Assay Remark Cr% Ni% 1 BL-1 80 1.25 16.4 1640 2.30 3772 8.80 0.24 BDH-1 2 BL-2 50 1.0 7.5 375 2.92 1095 16.89 0.17 BDH-2 3 BL-3 190 1.16 1.2 264.48 2.99 790.795 9.23 0.23 BDH-3 4 BL-4 75 0.65 8.9 433.875 2.16 937.17 3.74 1.45 BDH-4 5 BL-5 25 1.0 10.7 267.5 2.61 698.175 19.38 0.16 BDH-5 6 BL-6 70 1.0 2.3 161 3.03 487.83 17.62 0.20 BDH-6 7 BL-7 100 1.0 1.32 132 3.08 406.56 9.10 0.24 BDH-9 8 BL-8 150 0.5 3.9 292.5 3.12 912.6 10.72 0.18 BDH-13 Upper ore zone BL-8 50 0.5 8.85 221.25 3.12 690.3 10.72 0.18 BDH-13 Lower ore zone Total(As it is) 9790.43 106.2 3.05 Based on drill holes Average Grade 11.8 0.34

 

                                                                                 미얀마 북서부 보피붐 크롬광화대 연구결과 리뷰                                                        507

 

Table 4. Indicated resource calculation based on the drilling in 2016 Sr. No. Block No. Length (m) Thickness (m) Depth (m) Volume (cu.m) S.G. Tonnage (metric tons) Average Assay Remark Cr% Ni% 1 BL-1 160 1.25 16.4 3280 2.30 7544 8.80 0.24 BDH-1 2 BL-2 100 1.0 7.5 750 2.92 2190 16.89 0.17 BDH-2 3 BL-3 270 1.16 1.2 375.84 2.99 1123.762 9.23 0.23 BDH-3 4 BL-4 150 0.65 8.9 867.75 2.16 1874.34 3.74 1.45 BDH-4 5 BL-5 50 1.0 10.7 535 2.61 1396.35 19.38 0.16 BDH-5 6 BL-6 140 1.0 2.3 322 3.03 975.66 17.62 0.20 BDH-6 Total(As it is) 15104.11 75.66 2.45 Average Grade 12.61 0.41 Tonnage after 20% deduction safety factor 12080

 

4. 결론 및 제언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해외광물자원 관련 사업은 국 내기업이 해외광물자원개발사업에 진출할 때 가장 위험 부담률이 높은 탐사부분에서의 위험도를 경감시켜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KIGAM, 2019). 이러한 목적으로, 자 원부국이면서 개발도상국인 국가들과 정부 주도의 자원 협력위원회를 개최하고 광물자원분야의 공공기관으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참여하여 정부에서 필요성을 인 지하는 자원개발 대상광물을 위주로 상대국이 보유하고 있는 광역적인 지질조사가 이루어졌으며 광물자원 잠 재성이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약 3년간의 탐사시추를 포함한 기초탐사를 통하여 자원량을 평가하고, 이를 국 내 자원관련 기업에 소개하여 관심있는 국내기업이 해외 자원개발을 수행할수 있도록 교두보 역할을 수행하였다. 미얀마의 경우, 2010년 12월 수도 내피도에서 한-미 얀마 자원협력위원회가 개최되었고, 에너지 분야에서는 협력관계가 지속되었는데 광물자원 분야에서는 협력관 계가 진전되지 않아 자원협력위원회와는 별도로 2012 년 제1회 한-미얀마 광물자원협력위원회가 개최되었다. 이 위원회에서 당시 국내에서는 희유금속자원의 필요 성이 대두되어 미얀마 북서부 물웨룻 지역에 광역적으 로 분포하는 크롬-니켈광화대(약 800 km2 )를 조사지역 으로 제안받았다. 이 광화대에 분포하는 산출지를 대 상으로 2012년 2회의 현장조사를 통해, 자료원, 지질 잠재성, 광상구 소재여부, 대상광물의 자원개발 필요성, 기탐사실적, 품위, 광상형, 인근 가행광산 여부, 인프라 환경 및 탐사예상효과를 면밀히 검토한후 보피붐(Bophi Vum)지역을 2013년 3월 연구협약을 체결하고 양기관 의 정밀탐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이후 2013년부터 2016년까지,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미얀마지질조사광 물탐사국은 보피붐 광화대(50km2 )중 정밀탐사지역 (12km2 )를 대상으로 1:1,000 축척 지질조사 및 토양지 구화학탐사를 수행했다. 또한, 지표 크롬철석암의 심부 이상대를 파악하기 위하여 1.672km2 면적을 대상으로 자력탐사를 수수행하였다. 그리고, 광체의 연장과 발달 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굴착장비를 이용한 총 연장 313m의 7개의 트렌치 및 인력을 이용한 총 연장 79m의 12개 트렌치조사를 수행하였다. 상기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2015년 6개공 600m 시추 및 2016년 13개공 617.4m 시추등 총 1217.4m의 시추를 수행했다. 이중 11개공에서 77개의 시추코어시료를 채 취하고 각각 비중과 Cr 및 Ni 함량을 양곤 DGSE 분석센터에서 분석했다. 그리고, 기수행 지표지질조사, 트렌치, 자력탐사 및 시추자료를 고려하여 보피붐 지 역을 8개 블록으로 구분했으며 자원량평가는 정측자원 량과 개측자원량으로 평가했다(Fig. 9). 정측자원량은 약 9,790톤이며, 개측자원량은 약 12,080톤이다. 그리 고, 평균품위는 Cr 11.8% 및 Ni 0.34%이다. 미얀마 북서부 보피붐 지역의 경우, 남쪽의 웨불라 (Webula) 크롬광화대와 연계해서 개발한다면 중규모급 광산의 개발여지가 있으며, 미얀마는 지질학적으로 오 피올라이트 벨트가 서측과 동측에 광대하게 분포하고 있어 보피붐 지역에서 기초탐사를 수행하면서 습득한 탐사기법은 향후 미얀마의 오피올라이트 벨트에 부존 할 것으로 예상되는 잠두 크롬광체를 발견하는데 도움 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사 사

본 연구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수행하는 주요사 업인 “3D 지질모델링 플랫폼 기반 광물자원 예측 및 채광효율 향상기술 개발(19-3211-1)”의 지원을 받아 수 행했습니다.

 

508                                                                                        허철호 · 류충렬 · 박계순

 

References

 

Barber, A.J., Crow, M.J., Khin Zaw, K. (Eds.) (2017) Myanmar: Geology, Resources and Tectonics: Geological Society of London Memoir (in press).

 

Bender, F. (1983) Geology of Burma. Borntraeger, Berlin, 293p.

Chhibber, H.L. (1934a) The geology of Burma. Macmillan, London, 538p.

Gardiner, N.J., Robb, L.J. and Searle, M.P. (2014) The metallogenic provinces of Myanmar. Applied Earth Sciences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Mining and Metallurgy B), v.123, p.25-38

Gardiner, N.J., Robb, L.J., Morley, C.K., Searle, M.P., Cawood, P.A., Whitehouse, M.J., Kirkland, C.L., Roberts, N.M.W. and Tin Aung Myint (2016) The tectonic and metallogenic framework of Myanmar: a Tethyan mineral system: Ore Geology Reviews, v.79, p.26-45.

Goossens, P.J. (1978) The metallogenic provinces of Burma: their definitions, geologic relationships and extension into China, India and Thailand. In: Third Regional Conference on Geology and Mineral Resources of Southeast Asia. Bangkok, Thailand.

Heo, C.H., Kang, I.M., Koh, S.M., Koh, I.S., Kim, I.J., Ryoo., C.R., Park, G.S., Park, S.W., Oh, H.J., Yoo, B.C., Yoon, S.J., Lee, B.H., Lee, J.H., Cho, S.W. and Jin, G.M., (2013) Exploration and Resource Estimation of Overseas Mineral Resources,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Daejeon, GP2013- 0072014(2), 561p.

Heo, C.H., Chi, S.J., Kang, I.M. and Jin, K.M. (2014)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Bophi Vum chromite mineralized zone in the northwestern Myanmar: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7, p.351-362.

Heo, C.H., Koh, I.S., Kim, E.J., Kim, I.J., Ryoo., C.R., Park, S.W., Yang, S.J., Yoo, B.C., Yoon, S.J., Lee, G., Lee, J.H., Jin, G.M., Noh, S.G., Nam. H.T. and Lee, W.J. (2016) Exploration and potential evaluation of overseas/arctic circle mineral resources,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Daejeon, GP2015-033-2016(2), 648p.

Heo, C.H. (2019) Preliminary result of joint geochemical and trench survey between KIGAM and DGSE in Bophivum area, Chin state, unpublished, 38p. Hutchison, C.S. (1975) Ophiolite in Southeast Asia: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n Bulletin, v.86, p.797-806.

Hutchison, C.S. (1989) Geological evolution of southeast Asia: Oxford monographs on geology and geophysics, v.13, Clarendon Press, Oxford.

Jin, K.M., Heo, C., Chi, S. and Kang, I. (2014) Study on developing characteristics of Bophi Vum chromite mineralized zone in the northwestern Myanmar based on the trench survey: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50, p.293-307.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019) A History of KIGAM, 627p.

Liu, C.Z., Chung, S.L., Wu, F.Y., Zhang, C., Xu, Y., Wang, J.G., Chen, Y. and Guo, S. (2016a) Tethyan suturing in southeast Asia: Zircon U-Pb and Hf-O isotopic constraints from Myanmar ophiolites: Geology, v.44, p.311-314.

Liu, C.Z., Zhang, C., Xu, Y., Wang, J.G., Chen, Y. and Guo, S. (2016b) Petrology and geochemistry of mantle peridotites from the Kalaymyo and Myitkyina ophiolites(Myanmar): Implications for tectonic settings: Lithos, v.264, p.495-508.

Maung Thein (1973) A preliminary synthesis of the geological evolution of Burma with reference to the tectonic development of Southeast Asia: Geological Society of Malaysia Bulletin, v.6, p.87-116.

Min, K.D., Suh, J.H. and Kwon, B.D. (1987) Applied Geophysics, Woo-Sung press, p.142-145 Mitchell, A. (2018) Geological belts, plate boundaries, and mineral deposits in Myanmar, Elsevier, 509p.

Mitchell, A.H.G. and Garson, M.S. (1981) Mineral Deposits and Global Tectonic Settings. Academic Press, 405p. Ningthoujam, P., Dubey, C., Guillot, S., Fagion, A.S. and Shukla, D. (2012) Origin and serpentinization of ultramafic rocks of Manipur ophiolite complex in the Indo-Myanmar subduction zone, Northeast India: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v.50, p.128-140.

Niu, X., Liu, F., Yang, J., Dilek, Y., Xu, Z. and Shein, K. (2017) Mineralogy, geochemistry, and melt evolution of the Kalaymyo peridotite massif in the Indo-Myanmar ranges(western Myanmar), and tectonic implications; Lithosphere, DOI; https://doi.org/10.1130/L589.1.

Pal, T., Bhattacharya, A., Nagendran, G., Yanthan, N., Singh, R. and Raghumani, N. (2014) Petrogenesis of chromites from the Manipur ophiolite belt, NE India: evidence for a supra-subduction zone setting prior to Indo-Myanmar collision: Mineralogy and Petrology, v.108, p.713-726.

Park, G. and Heo, C. (2014) Magnetic data analysis of the chromium mineralized belt in Bophi Vum area, northwestern Myanmar: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v.17, p.147-154.

Pascoe, C.H. (1959) Manual of the geology of India and Burma, third ed. v.2. Government of India Press, Calcutta, 1343p.

Ryoo, C.-R., Heo, C. and Zaw Linn Aung (2015) Geological structure and mineralization in the Bophi Vum Cr mineralized zone, NW Myanmar: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4, p.307-321

Park, J., Park, G., Heo, C. and Kim, J. (2017) A Geochemical indicator in exploration for the Kalaymyo chromitite deposit, Myanmar: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0, p.423-433.

Sing, A.K. (2013) Petrology and geochemistry of abyssal peridotites from the Manipur ophiolitic complex, IndoMyanmar orogenic belt, northeast India: Implication for melt generation in mid-oceanic ridge environment: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Soe Win and Marlar Myo Myint (1998) Mineral potential of Myanmar: Resource Geology, v.48, p.209-218.

Wagner, C. (1983) Chromite exploration at the southern Mwetaung and the Tagaung Taung. ECAMS Interim rept., Rangoon (unpubl.).

Win Swe (2012) Outline geology and economic mineral occurrences of the Union of Myanmar Geosciences Society, v.2, p.1-28.

Zhou, M.F., Robinson, P. and Bai, W. (1994) Formation of podiform chromitites by melt/rock interaction in the upper mantle: Mineralium Deposita, v.29, p.98-101.

Zhou, M.F. and Robinson, P.T. (1997) Origin and tectonic environment of podiform chromite deposits: Economi